28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은 전날 AI·사물인터넷(IoT)·로봇 관련 전문가회의에서 AI와 빅데이터 등이 초래하는 ‘제4차 산업혁명’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추산해 발표했다. 이 계산에는 AI 등이 인간을 대신하게 될 직종 분석, 과거 20년 동안 산업의 성장과 쇠퇴 경향 등이 고려됐다.
일본 정부는 지금 추세라면 2030년 고용자 수가 2015년과 비교해 735만명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제조 공장의 단순 작업원이나 조달 관리원 등 제조·조달 분야에서만 262만명의 고용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경리·급여관리·데이터입력 등 사무 보조 분야에서 145만명, 정형보험 판매나 슈퍼마켓 계산원 등 대체가 쉬운 영업·판매 분야에서 62만명이 각각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일본 정부 등이 인재 육성에 나서거나 성장 분야로 노동력을 이동시키는 등의 노력을 경주하면 지난해 대비 고용 감소 폭은 161만명으로 축소될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AI가 사람을 대체하기 어려운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이 성장해 다른 분야의 고용 감소를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제산업성은 “혁신을 하겠다는 결의로 대처하지 않으면 점차 가난해질 것”이라며 변화를 촉구했다.
한편 미군은 AI를 ‘살인 로봇’이 아니라 보조자로 이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로버트 워크 미국 국방부 부장관은 이날 “전장에서 인간의 신속한 결정을 돕는 형태로 AI를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화 터미네이터에 등장하는 로봇처럼 스스로 판단해 임무를 수행하는 살인 AI는 만들지 않겠다는 것이다.
워크 부장관은 “과학자들은 명령을 재조합할 정도로 똑똑한 AI의 등장을 우려하고 있지만 우리(미군)의 작업은 그런 것과는 거리가 멀다”며 “AI는 인간의 결정을 돕는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현미 기자, 도쿄=우상규 특파원 skwo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