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집단대출·자영업자 부채 급증…가계부실 '뇌관' 째깍째깍

입력 : 2016-09-04 20:50:00 수정 : 2016-09-04 21:20:11

인쇄 메일 url 공유 - +

금융당국 TF 구성 ‘급한 불 끄기’
가계부채는 한국경제의 뇌관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그중에서도 특히 위험성이 큰 것으로 지목되는 게 있으니, 아파트 집단대출과 자영업자 대출이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자체가 부동산경기에 따라 위험성이 커질 수 있는데 그중에서도 집단대출은 특히 취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차주의 소득상환능력을 따지지 않고 이뤄지기 때문이다. 올해 들어 주담대는 상환능력을 꼼꼼히 따지도록 심사 기준이 강화됐지만 집단대출은 여전히 DTI(소득 대비 총부채상환비율) 규제에서 자유롭다. 흔히 공식 가계부채 통계에서 빠지는, ‘숨은 가계부채’인 자영업자 대출도 경기 침체, 금리 인상의 충격을 가장 먼저 받아 부실화할 수 있는 취약한 고리다. 지금 취약한 두 고리는 급증세다. 

◆경기침체, 부채증가…위기의 자영업자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자영업자 부채는 7월 말 251조6000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5.14%(12조3000억원) 늘었다. 자영업자 부채가 급증하는 동안 경제성장률은 0%대로 기었다. 전기 대비로 1분기엔 0.5%, 2분기엔 0.8% 성장했다.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터에 자영업자들의 빚은 급증세다. 순수 일반가계 부채인 가계신용 1257조3000억원(6월 말)에다 자영업자 부채를 포함하면 실질 총 가계부채는 1509조원에 육박한다. 
자영업자 부채는 질도 나빠지는 흐름이다. 금리가 은행보다 훨씬 높은 저축은행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 대출이 대폭 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 말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산업대출금 잔액은 170조3410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6.3%(10조797억원) 늘었다. 올해 상반기 증가액은 작년 같은 기간(2조8331억원)의 3.6배로 확대됐다. 한은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8년 이후 반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 규모다. 한은 관계자는 “은행들이 대출심사를 강화하면서 2금융권 산업대출이 많이 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비은행금융기관의 경우 전산시스템 미비 등의 이유로 자영업자 대출 통계가 따로 집계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들의 산업대출금 중 상당 부분이 자영업자 대출로 추정된다. 실제 자영업자 부채는 집계된 통계인 251조6000억원보다 훨씬 많다는 얘기다. 대출의 서비스업 쏠림현상은 이런 추정을 뒷받침한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산업대출 잔액에서 서비스업 대출이 69.8%(118조8000억원)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서비스업은 자영업자가 많이 선택하는 부동산업, 임대업, 숙박업, 음식점업, 도·소매업 등으로 구성된다.

자영업자 부채는 경기에 민감하다. 지난 8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한 금통위원은 “개인사업자 대출은 가계부채와 유사한 성격을 지니고 가계대출을 동시에 보유한 자영업자의 경우 부실화 위험이 크다”며 “자영업자 대출을 가계부채에 포함해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비수기에도 급증하는 주담대

주담대는 비수기인 8월에도 급증세다. 국민, 신한, 우리, KEB하나 등 6대 은행의 8월 말 기준 주담대 잔액은 371조5000억원으로 전월보다 3조9884억원 증가했다. 6월(4조원), 7월(4조2000억원)에 비해 증가세가 다소 둔화했으나 여전히 4조원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일부 은행은 상반기에 연간 가계대출 목표치를 초과 달성했다. 올해 들어 아파트 중도금 대출(집단대출)이 증가세를 이끌었는데, 최근에는 서울 강남지역 재건축이 활황을 보이면서 일반 주담대도 급증세다.

금감원은 속도 제어를 위해 특별 태스크포스(TF)를 만들었다. 은행권에 이달 중순까지 자체 분석을 통한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방안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집단대출 비중 증가와 관련한 리스크를 상세하게 파악해 볼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금 같은 증가 속도가 이어지면 하반기에 어떻게 될지 우려된다”며 “속도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TF의 가계부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토지·상가 비주택담보대출 관련 가이드라인을 만든다든지, 상호금융권에도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적용을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뒷북인 데다 근본적 대책으로 보기 어렵다는 비판이 나온다. 정부는 가계부채를 걱정하면서도 집값을 띄우려 투기를 뒷받침하면서까지 가계부채를 늘리는 모순을 지속해왔다.

류순열 선임기자, 황계식 기자
ryoos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블랙핑크 지수 '여신이 따로 없네'
  • 블랙핑크 지수 '여신이 따로 없네'
  • 김혜수 '눈부신 미모'
  • 유인영 '섹시하게'
  • 박보영 '인간 비타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