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거래 계획 가진 사람일수록
‘밴드왜건’ 효과 작용 가능성↑
“정부 부동산정책 신뢰 못 준 탓”
부동산 투자를 결정할 때 위험을 감수하고자 하는 개인의 성향보다 타인에 편승하려는 ‘밴드왜건’ 효과가 작용할 가능성이 더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처럼 타인의 투자에 영향을 받는 이유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신뢰감을 주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에 따르면 연구소는 서울 시민 12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집의 의미와 주택 시장 과열의 심리’ 보고서를 내놨다. 연구진은 부동산 투자 시 편승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많은 사람이 선택하는 집이 좋은 집이다’, ‘분양시장에 사람들이 몰리기 때문에 나도 거기에 투자해야 한다’와 같은 8개 문항을 응답자들에게 제시하고, 동의하는 정도를 각가 4점 척도로 평가해 재점수화했다
응답 내용을 분석한 결과, 가까운 기간 내 주택을 거래할 의향이나 계획을 갖고 있을수록 타인에 편승하는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2년 안에 주택을 거래할 계획이 있는 집단(응답자의 34.7%)은 편승 성향이 4.12점으로 전체 집단 중 가장 높았다. 이어 2∼5년 사이(44.6)는 3.82점, 의향 없음(20.8)은 3.58점이었다.
이러한 편승 성향은 개인의 적극적인 투자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편승 성향이 1점에서 6점으로 올라갈수록 투자 적극성(10점 만점)도 꾸준히 증가했다. 반면 개인의 위험 감수 성향의 경우 점수에 상관없이 투자 적극성이 6점대로 고정되는 등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지 않았다.
부동산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는 48.4%로 하락을 전망하는 응답자(10%)보다 훨씬 많았다. 가격 상승을 전망하는 이유로 ‘현재 거주 지역의 가격 상승 기미가 보여서’라고 응답한 비율이 28.1로 가장 높았다. 김석호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장은 “부동산 투자에서 편승 효과가 강하게 나타나는 주된 이유는 정부 정책이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는 불신에 기인한다”며 “정책 실패가 예견되기 때문에 정책 기조와 반대로 주택 가격이 계속 상승할 것이라는 신념을 공유하게 된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