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계선 “무리한 규제” 반발 카드정보 유출 후폭풍이 대부업체 TV광고 제한으로 이어졌다. 금융당국이 대부업체 대출 광고 제한에 나선 것이다. 가뜩이나 텔레마케팅 금지로 큰 타격 본 대부업계는 TV광고까지 금지되자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개인정보 불법 유통에 따른 후속조치로 방송통신위원회 등 유관 부처와 협력해 올해 안에 금융사의 과도한 대출 광고를 제한할 계획이다. 대출 광고는 개인정보 불법 유통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무차별적인 대출 분위기를 형성하고 무분별한 대출을 부추길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금융당국이 TV광고 제한 조치로 겨냥한 건 대부업체다. 금융당국은 대부업체의 무차별 반복광고 제한, 청소년을 고려한 광고시간 조정과 함께 허위광고 적발 시 전화번호 정지 조치 등을 취할 방침이다.
![]() |
신제윤 금융위원장(맨 왼쪽)이 28일 서울 세종로 금융위에서 열린 ‘개인정보 불법 유통·활용 차단 조치 이행점검 회의’에서 “금융당국은 주민등록번호를 과도하게 수집·활용하는 관행을 개선하는 등의 대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
금융소비자 단체들은 ‘쉽고 빠르다’는 것만 강조하는 대출 광고를 반복적으로 시청할 경우 ‘돈은 언제든 쉽게 빌릴 수 있는 것’이란 그릇된 인식을 가지게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대부업체 광고는 아기자기한 캐릭터와 반복적인 안무·음악 등으로 아동·청소년에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크다. 금융정의연대가 서울지역 4∼6학년 초등학생 36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4.7%(342명)가 ‘대출광고를 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에 따라 금융정의연대 등 7개 시민단체는 지난해 11월 ‘금융소비자네트워크’를 발족하고 TV광고 금지 등 대부업 대출 광고 제한 운동을 벌이고 있다.
광고 제한 방침이 알려지자 대부업체는 ‘무리한 규제’라며 반발하고 있다. 최수현 금감원장이 최근 한 대부업체 광고를 “잘 만들었다”고 칭찬한 적도 있는 상황에서 갑자기 손바닥 뒤집듯 광고 제한에 나선 것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크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올해 4월부터는 법정 최고이자율이 연 34.9%로 기존보다 4.1%포인트나 내릴 예정이어서 수익성 악화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김유나 기자 yo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