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기자가만난세상] 내 연봉보다 더 오른 집값

관련이슈 기자가 만난 세상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17-06-16 21:27:53 수정 : 2017-06-16 23:23:5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집값이 올랐다. 1년여 전 결혼을 준비하면서 장만했던 집이 슬금슬금 제 가치를 높이더니 내 연봉보다 훨씬 많이 올랐다. 기분이 좋냐고? 돈 좀 벌었으니 소고기 좀 사야 하는 거 아니냐고? 솔직히 싫지는 않다. 제 재산이 기특하게도 스스로 몸뚱이를 불려나간다는데 마다할 사람이 있을까.

그런데 사람의 감정이란 게 그리 단순하지 않다. 아파트 시세 그래프를 골똘히 보다 보니 좀 서글퍼지더란 말이다.

여기서 잠깐 내 소중한 집에 대해 설명해야 할 것 같다. 이 집은 내 전 재산의 95% 정도를 차지한다. 대강 내 통장 속 예금과 현재 집값을 합한 금액을 전 재산으로 치면 그렇다는 말이다. 엄밀히 따지면 좀 더 복잡하다. 일단 이 집의 33.3%가 은행 대출이다. 5년 거치식으로 집을 담보 삼아 빌렸다. 매월 대출 이자로 내 월급의 10% 정도가 빠져나가고 있다. 얼마 전 통장에 모인 목돈으로 원금의 10%를 상환했다. 숫자가 많이 나와 좀 복잡한가? 다음 정권 말기쯤 되면 이 은행 빚을 다 청산할 수 있을 것 같단 얘기다. 은행 빚만 빚이겠는가. 은행 대출을 제외한 금액 중 일부는 부모의 노후자금을 당겨썼다. 이 또한 당연히 갚아야 하지 않겠는가.(어머니는 우리 신문을 구독하신다)

김승환 산업부 기자
그 정도면 양호한 편이라고, 빚이 어찌 됐건 당신 명의로 된 집이니 집값 상승을 맘껏 즐겨도 된다고 말하고 싶은가? 빚은 고도로 발달한 금융자본주의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필요충분조건이며 오히려 축복이라고 위로하고 싶은가? 맞다. 누군가는 빚도 자산이라고 하지 않는가. 그러나 내가 서글픈 건 빚 때문이 아니다. 당장 집값이 아무리 올라도 나는 실제 그 상승분을 가질 수 없다. 나는 1주택자니깐. 이 집을 처분하고 어디 노숙을 하지 않을 바에야 그 돈으로 내 집만큼 오른 집을 사야만 한다. 나아지는 건 없다. 내 처지에서야 아파트 시세 그래프가 올라가든 내려가든, 지 맘대로 춤을 춰도 숫자놀음에 불과할 뿐이다.

내 서글픔의 방점은 ‘내 연봉보다 훨씬 많이 오른 집값’에 찍혀 있다. 나는 양질의 기사를 생산하기 위해 앉으나 서나 고민하고 취재한다.(편집국 간부들이 칼럼을 볼 것이다) 그러나 금액 기준으로 보면, 우두커니 서 있는 게 전부인 내 집보다 내 생산 가치가 떨어진다는 거 아닌가. 전국 주요 지역의 상승하는 아파트 시세 그래프를 본 월급쟁이들은 저도 모르게 이런 기분을 느낄 것이다. 일할 맛 안 난다고.

요즘 주택시장은 데일 만큼 뜨겁다. 지난해 정부가 실수요 중심으로 시장을 재편하겠다며 내놓은 11·3대책은 반년 만에 약발을 다 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대선을 마쳤다는 것 외에 별다른 호재가 없는데 시장에 불이 붙었다. 11·3대책이 투기수요를 임시로 틀어막는 데 그쳤단 걸 보여주는 거 아니냐”고 말했다.

빚 내서 살 집 마련하기도 버거운 월급쟁이들은 일할 맛이 뚝뚝 떨어질 수밖에 없다. 그런 월급쟁이들 중 하나가 새 정부에 소박한 부탁 하나 하고 싶다. 일할 맛 나게 제대로 좀 도와달라고.

김승환 산업부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