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드루킹 사건’ 경찰 꼼수 해명에 발끈한 검찰

입력 : 2018-04-19 21:56:02 수정 : 2018-04-19 21:56:01

인쇄 메일 url 공유 - +

警 ‘수사자료 제공·법률 협의’ 주장 / 檢 “사실과 달라”… 언론플레이 지적 / 일각 “경찰 수사 행태 너무 이상” ‘드루킹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이 검찰에 수사자료를 많이 제공하고 법률 협의까지 마친 것처럼 거듭 주장했다가 검찰의 반박으로 궁지에 몰렸다. 경찰이 수사 실체를 은폐하기 위해 언론 플레이를 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문무일 검찰총장(왼쪽)과 이철성 경찰청장이 지난 18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제2차 반부패정책협의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찰청은 19일 댓글조작사건 피의자인 전 더불어민주당원 드루킹 김모(49·구속)씨 사건을 검찰에 넘기면서 김경수 민주당 의원과 관련한 내용을 제외하는 등 수사를 축소한 적이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경찰은 지난달 30일 김씨 등 피의자 3명을 검찰에 넘길 때 압수물 분석을 끝내지 못했고, 4월5일에야 처음으로 김 의원이 등장하는 텔레그램 대화방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이후 이달 9일 검찰과 김 의원에 대해 협의해 법률 검토를 마치고, 13일 텔레그램 전체 자료를 인쇄한 서류를 검찰에 제공했다고 설명했다. 17일엔 김씨 텔레그램 대화내역을 상세히 분석해 압수물 일체를 검찰에 넘겼다고 했다.

이날 저녁 서울중앙지검은 경찰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검찰은 이달 9일 저녁에 갑자기 경찰이 A4용지 3장 분량의 김씨 텔레그램 화면 5개를 갖고 왔고, 주임검사는 “빨리 디지털분석을 끝내고 내용 전부를 보내라”고 했을 뿐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에 대한 양 기관의 치밀한 법률 검토’ 같은 건 없었고, 경찰이 일방적으로 극히 일부 자료만 제공했다는 얘기다. 지난 13일과 17일에 텔레그램 메시지 전체를 넘겨받았다는 경찰 측 발표도 사실과 다르다고 했다. 검찰 관계자는 “경찰이 사전보고 없이 13일 퇴근시간 무렵에 종이뭉치를 던져놓고 갔다”며 “17일에 건넸다는 서류도 13일 것과 같은 내용”이라고 말했다.
한국당, 서울경찰청 항의 방문 자유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왼쪽 두번째)를 비롯한 당 소속 의원들이 19일 오전 민주당원(필명 드루킹) 댓글조작 의혹 수사 관련 항의를 위해 서울지방경찰청을 방문해 이주민 청장(오른쪽)과 면담하고 있다.
하상윤 기자
경찰은 드루킹 사건을 맡은 이후 미심쩍은 해명을 한 적이 한두번이 아니다. 경찰은 김씨를 포함한 공범 3명의 계좌를 추적 중이라면서도 그 숫자는 15개, 30개, 35개로 해명 때마다 전부 달랐다. 김씨 등에 대한 통신조회 영장 역시 처음에는 16일에 했다고 했는데, 실은 11일 신청했다가 검찰의 보강지시로 16일에 신청한 것이었다. 경찰은 ‘통신조회 영장을 일찍 신청했지만 검찰이 늦췄다’는 뉘앙스를 풍겼지만 검찰은 “기본적인 기재사항도 못 갖춘 영장이었다”고 지적했다.

사정기관 안팎에서는 경찰의 수사행태가 이상하다는 말이 나온다. 한 사정기관 관계자는 “수사권을 가질 만한 실력이 없거나 수사의지가 없거나 둘 중 하나는 분명하다”고 말했다.

김주영 기자 buen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공효진 '봄 여신'
  • 나연 '사랑스러운 꽃받침'
  • 있지 리아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