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中과 일촉즉발’ 인도, 조기경보통제기·첨단무기 4조원 어치 추가 구매

입력 : 2020-12-18 18:00:14 수정 : 2020-12-18 18:00:08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인도 국방구매위원회(DAC) 약 4조2000억원 규모의 무기 구매 예산안 승인 / 11척의 연안경비함, 38개의 해군용 브라모스 초음속 크루즈미사일 구매
인도 공군이 보유한 치누크 헬기(오른쪽)와 공중조기경보통제기. AP=연합뉴스

 

중국과 국경 분쟁 중인 인도가 무기 4조 원 어치를 더 사들인다.

 

18일 더힌두 등 인도 언론에 따르면 인도 국방구매위원회(DAC)는 전날 2800억루피(약 4조2000억원) 규모의 무기 구매 예산안을 승인했다.

 

예산안의 핵심은 공군용 공중조기경보통제기(AEW&C) 6대 추가 확보다. 공중조기경보통제기는 공중조기경보기(Airborne Early Warning, AEW) 기능과 공중지휘기(Air borne Command Post, ACP)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항공기를 말한다.

 

인도는 에어버스 A320 여객기를 개조해 다기능 레이더 및 조기경보체계를 장착할 방침이다.

 

군 당국 관계자는 “A320은 이미 들여온 상태로 우리 요구에 따라 개조될 것”라며 “새 항공기는 360도를 커버할 수 있어 기존 소형 네트라 AEW&C 3대보다 성능이 뛰어나다”고 말했다.

 

이번 예산안에는 또 11척의 연안경비함, 38개의 해군용 브라모스 초음속 크루즈미사일에 대한 구매도 포함됐다.

 

인도 정부는 지난 7월에도 3890억루피(약 5조8000억원) 규모의 무기 구매 및 개발 예산안을 승인한 바 있다. 당시 예산안에는 미그-29 21대, 수호이-30 MKI 12대 등 러시아제 전투기 33대 구매가 포함됐다.

 

인도는 현재 미그-29 59대, 수호이-30 MKI 272대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는 올해 중국과 국경 갈등이 고조되면서 첨단 무기 도입을 서둘러왔다. 이번 전투기 구매에도 패스트트랙 절차가 적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와 중국 간의 관계는 인도 북부 라다크 지역 국경 갈등으로 인해 최악 수준으로 치달은 상태다.

 

지난 5월 판공호수 난투극에 이어 20명의 인도군 사망자가 발생한 6월 갈완 계곡 ‘몽둥이 충돌’ 45년 만의 총기 사용 등의 충돌이 이어지면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한편 인도 정부가 신뢰업체 명단 작성을 통해 중국 통신장비업체 퇴출에 나설 계획이라고 NDTV 등 인도 언론이 지난 17일 보도했다. 라비 샨카르 프라사드 인도 통신부 장관은 전날 통신 분야 안보 강화를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장비 업체와 서비스 등을 별도로 지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프라사드 장관은 “정부는 통신서비스 제공업체를 위해 이 명단을 발표할 예정”이라며 결국 신뢰할 수 있는 업체와 그렇지 않은 업체로 나뉘게 되는 셈이라고 덧붙였다.

 

이 명단에 중국 업체를 포함하지 않는 방식으로 중국산 통신장비를 정식으로 퇴출할 수 있는 길이 마련되는 것이다. 다만, 프라사드 장관은 이 조치가 중국 업체를 겨냥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현지 언론은 인도 정부가 중국과 국경 갈등 대치 중에 이번 방안을 꺼내 들었다며 사실상 중국 업체를 겨냥한 조치라고 해석했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박보영 '순백의 여신'
  • 박보영 '순백의 여신'
  • 장희령 '해맑은 미소'
  • 정소민 '완벽한 미모'
  • 이영애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