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은 11일 “‘동북아 산림협력’에 북한이 참여하는 것은 한반도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것은 물론,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 산림협력 의지를 다시 한번 공개적으로 밝히면서 북한의 참여를 기대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에이펙(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전 열린 ‘에이펙 CEO 서밋 2021’ 회의에 화상으로 참석, ‘에너지의 미래’ 세션에서 가진 기조연설을 통해 “한반도에서도 숲을 공유하고 함께 가꾸며 항구적 평화가 이뤄지길 바란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을 위한 우리 모두의 실천 의지와 협력이 더 굳건해 지길 바란다”며 “그 협력에 북한도 참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남북 산림협력’과 관련한 문 대통령의 언급은 최근 잦아지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1일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 참석한 자리에서 “한국은 개발도상국의 산림 회복에 적극 협력하겠다”며 “아울러 남북한 산림협력을 통해 한반도 전체의 온실가스를 감축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부, 통일부 등 유관부서에서도 남북 산림 협력에 대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문 대통령이 재차 남북 산림 협력 의지를 보임에 따라 북한의 반응이 주목된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진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한국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방향을 크게 △에너지 전환을위한 민·관 포용적 협력 △수소경제 생태계 구축을 위한 역내 협력 △국경을 넘는 나라간 포용으로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이제 에너지원으로써 석탄과 석유의 역할은 더 이상 지속될 수 없다”며 “우리는 새로운 에너지로 문명의 대전환을 이끌어야 한다. 태양광 해상풍력 같은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높이고 디지털 기술혁신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문 대통령은 신규 석탄발전소 허가 중단 및 2025년내 태양광·풍력설비의 2020년 대비 두 배 확충, 그린 뉴딜 공적개발원조(ODA) 증가 등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각국 정부와 기업이 에너지의 더 빠른 전환과 혁신을 위해 협력하고 경쟁한다면 인류는 새로운 문명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중요한 것은 연대와 협력과 포용“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