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지구온난화 1.5도로 제한하기 위해 줄여야 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현재 NDC 목표와 격차 커”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환경팀

입력 : 2022-04-05 00:41:14 수정 : 2022-04-05 10:55:4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기후변화의 심각성에는 공감하면서도 인류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재, 온실가스를 급격히 감축하지 않으면 지구온난화 1.5도 억제가 어려울 것이라는 보고서가 나왔다. 다만 앞으로 몇 년간 각국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노력을 강화한다면, 산업화 이후 1.09도 상승한 현재에서 크게 지구온난화가 심해지지 않는 정도로 완화할 수 있다는 여지도 남겼다.

 

기상청은 4일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제6차 평가보고서(AR6) 제3실무그룹 보고서가 승인됐다고 밝혔다. 6차 평가보고서를 구성하는 총 세 개 실무그룹 보고서의 마지막 ‘완화’편이 완성됐다. 2015년 승인된 제5차 평가보고서 이후 이뤄진 연구를 집대성한 이번 보고서는 2도 이내로, 가능하면 1.5도 이내로 지구온난화를 억제하자는 파리협정의 기조 아래 작성됐다. 보고서는 ‘1.5도 억제’를 달성할 수 있을 만큼  온실가스를 감축하려면, 사회·경제·제도적 변화뿐 아니라 일상에서 생활양식까지 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90∼2019년 인간에 의한 세계 온실가스 순배출량. IPCC 6차평가보고서 캡처
현행 정책을 유지할 경우 예상되는 온실가스가 배출량(붉은색)과 지구온난화를 1.5도로 억제하기 위해 감축해야 할 온실가스 배출량(푸른색) 비교. IPCC 6차평가보고서 캡처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이후 온실가스 순배출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0∼2019년 누적 CO₂ 배출량은 410±30 GtCO₂로, 산업화 이후 1850∼2019년까지 누적 CO₂ 배출량(2400±240GtCO₂)의 17%를 차지한다. 2400GtCO₂는 지구온난화를 1.5도로 억제하기 위한 탄소허용배출총량의 5분의 4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1.5도 억제를 목표로 한다면 이제 인류에게 남은 탄소배출량은 허용치의 5분의 1뿐이다. 기상청과 환경부 등 정부기관과 제3실무그룹 주관기관인 녹색기술센터 등이 이번 보고서 주요 내용과 시사점에 관해 브리핑을 진행했다. 브리핑에는 오채운 녹색기술센터 책임연구원이 참여했다. 다음은 브리핑 질의 일문일답.

 

-최근 제25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이전에 제출한 국가들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이행안 합계와 이번 보고서가 1.5도 제한 경로로 제시한 배출량(2019년 대비 43%)을 비교할 때 차이가 어떤가.

 

“2019년 기준 전 세계의 온실가스 연간 배출량은 59GtCO₂이다. 현재 NDC 의욕 수준과 1.5도 억제에 필요한 2030년 배출량 사이에 격차가 존재한다. NDC를 달성해도 2030년 배출치는 53GtCO₂ 안팎으로 전망된다. 1.5도 제한을 달성하려면 온실가스를 19~26GtCO₂를 더 감축해야 한다.”

 

-‘완화, 적응, 지속가능발전 연계’를 다룬 장에서 일부 일자리는 소멸하고, 기술 향상과 더 많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은 장점이라고 했다. 어떤 일자리가 없어지고, 어떤 일자리가 생겨나게 되나.

 

“예를 들어 화석연료 보조금이 폐지되고 화석연료 발전소가 문을 닫게 된다면 화석연료 관련 일자리는 줄어들게 된다. 장점으로는 재생에너지나 저탄소 기술 개발과 관련된 일자리 생기게 될 것이다. 그리고 국내에서 배출권거래제 등 제도 운영할 때 일할 일자리 생기고, 국가 간 감축노력이 강조돼서 해외에서 감축사업 진행할 때 이런 일 하는 전문가가 필요할 수 있어. 양질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본다.”

 

-직접 대기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한다는 방법이 어떻게 대기 중 탄소를 빨아들인단 말인가.

 

“CCS(탄소포집·저장) 기술은 이미 발전소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밀폐된 공장 등에서 적용된다. DACCS(직접대기 탄소포집·저장) 기술은 밀폐된 공간이 아니라 대기 중에서 이산화탄소를 걸러내는 방법이다. 밀폐된 곳에서 배출점원이 나오면 쉽게 포집이 가능하지만, 대기 중에선 탄소 농도가 낮아서 포집기술에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관한 연구개발(R&D)이 많이 이뤄지고 있다. 수용성 액체를 통해서 대기 중 공기 넣어서 흡수하는 방식이나 고체흡착제 활용해 탄소를 흡착시켜서 제거하는 방법 등이 개발 중이다. 기본적으로 CCS와 같은 접근법이지만, 밀폐된 곳이냐, 열린 공간이냐가 다른 점이다. 열린 곳에서의 포집기술은 아직 연구 단계이다.”

 

-원자력발전에 대한 언급도 있었나.

 

“완화 수단의 일부로 언급됐다.”

 

-완화 옵션의 감축 효과와 비용을 따졌을 때, 원전의 감축 효과가 풍력이나 태양광에 비해 많이 작게 나타났다. 이유가 뭔가.

 

“원전의 감축 효과를 비용 중심으로 접근했다. 원전 비용을 산정할 때 원전의 감축효과만이 아니라 폐기 사안도 많이 고려됐다. 원전을 폐기하지 않고 사고 발생했을 때 사용하는 보험료도 많이 산정됐다. 그래서 풍력, 태양광보다 폐기나 사고발생 보험비용 등이 고려돼 원전의 감축효과가 그렇게 나타났다고 보면 된다.”

 

-수요 관리와 서비스, 기술 개발 및 이전 같은 완화접근법 등이 제시됐다. 그런데 수요 관리는 전부터 있던 접근법이다. 이번 보고서에서 다르게 언급된 부분은 무엇인가.

 

“이번 보고서의 핵심은 5차 평가보고서에는 수요 관리에 관한 장이 따로 없는데 이번에 별도로 들어가 크게 말하고 있단 점이다. 아예 새롭지는 않지만 6차 평가보고서에서 봤을 때 ‘1.5도 목표’ 달성을 위해 시스템 변혁이 필요한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접근법 중 하나로 수요 관리를 큰 비중으로 언급했다.”

-수요 완화 방안이 국제사회의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어떤 의미가 있다고 이해할 수 있는가.

 

“온실가스 감축 자체가 비용이 많이 든다. 수요 측면에서 완화 노력은 행동방식의 변화를 말한다. 국가 차원에서 감축을 위해서는 산업군 변화가 있어야 하는데, 산업군 변화 없이 개인 수요를 변화시킬 수 있다면 사회적 비용이 좀 더 줄어들 수 있다. 개인의 에너지 소비나 육류 식품 즐기는 취향 자체가 바뀌는 게 어렵고, 그걸 바꾸는 데에도 교육이 필요하다. 또 인플루언서 등을 통한 사회적인 수요 변화를 보여줄 필요도 있다. 이런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산업군 변화 없이도, 큰 사회적 비용을 치르지 않고도 개인의 수요를 변화시킴으로써 감축 결과물을 가져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본 의미로 보면 된다.”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비형평성 대응’이 가능하다고 돼 있다. 이를 어떻게 해석하면 좋을까.

 

“비형평성 대응이란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에게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더 할 수 있는 여력이 있다는 것이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있으면 기후변화에 관련한 교육을 더 받을 수 있고, 사회적인 인식도 더 높을 수 있다. 감축에 수반되는 경제적, 사회적 고통이 있는데 쓰레기 배출이나 육류 소비를 줄인다든가 거기서 발생하는 경제적 비용을 감당할 여력이 더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사람들에게 그런 행동을 더 기대할 수 있다고 해석하는 게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박유빈 기자 yb@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오마이걸 아린 '청순&섹시'
  • 오마이걸 아린 '청순&섹시'
  • 임지연 '여신의 손하트'
  • 이주빈 '우아하게'
  • 수현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