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에 관세 폭탄을 투하하고 중국도 물러서지 않고 보복관세 등으로 맞서면서 세계 양대 경제 대국인 미·중 간 무역이 멈춰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중국에 총 145%의 관세를 부과했고, 중국도 대응 수위를 맞불 수준으로 끌어올리며 모든 미국산에 84% 관세를 추가한 상태다.
미국 싱크탱크 택스 파운데이션의 에리카 요크 이코노미스트는 10일(현지시간) CNBC 방송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부과한 세 자릿수 관세로 인해 양국 교역 대부분이 중단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대체재가 없어 기업들이 (관세)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교역을) 중단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소시에테제네랄도 이번 관세로 중국의 대미 수출이 대부분 사라질 것으로 봤고, 캐피털이코노믹스는 향후 몇 년간 중국의 대미 수출이 절반 넘게 줄어들 것으로 추정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날 기사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전쟁을 중국과의 ‘이판사판식’ 대결로 몰아가고 있다며 양국 갈등이 당장 퇴로가 안 보일 정도로 고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도이체방크 이코노미스트들은 미·중 양국이 무질서한 경제적 디커플링 과정에 있다고 진단했다.
관세전쟁은 양국 모두에 타격을 안겨줄 전망이다. 우선 관세 여파로 미국 소비자들의 생활비가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지난해 미국의 상품 수입 가운데 13%가량이 중국산이었다. 뉴욕타임스(NYT)는 장원둥 미국 코넬대 교수를 인용해 미국 스마트폰의 73%, 랩톱 컴퓨터의 78%, 장난감의 77%가 중국산이라고 보도했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의 앤디 제시 최고경영자(CEO)는 10일 CNBC 인터뷰에서 “일부 온라인 판매자들이 관세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있다”며 가격인상 가능성을 열어뒀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아마존에 입점한 중국 판매상들은 관세 여파로 상품 가격을 올리거나 미국 시장 철수를 고려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JP모건의 마이클 페롤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가 3000억달러(약 435조원) 이상의 증세와 맞먹는다고 지적했다.
관세 불확실성 속에 기업 활동도 위축되고 있다. 미국 공장들은 중국산 주문을 취소하고 중국 제조업체들은 조업을 멈추고 있다. 중국으로서도 그동안 수출을 통해 자국 내 과잉생산 문제를 해소하려 해온 만큼 미국 시장이 막힐 경우 대체 판로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수출이 부진하면 중국의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압력도 심해질 수 있다. 지난해 미국의 대중국 수입은 4389억달러(약 636조원), 수출은 1435억 달러(약 208조원) 수준이었다.
HSBC 프레데릭 노이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성장모델이 한계에 이르고 있다며 무역전쟁으로 중국 성장률이 1.5∼2%포인트 낮아질 수 있고 다른 나라들도 미국의 대중국 압박에 가세할 경우 타격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