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한탕의 유혹’ 정치테마주 요동… 투자 주의보

입력 : 2025-04-14 20:20:00 수정 : 2025-04-14 21:53:50

인쇄 메일 url 공유 - +

조기 대선 바람 타고 ‘들썩들썩’

오세훈·유승민 불출마에 관련주 급락
이재명株 분류 상지건설 이달 8배 급등
“캠프 인연” “본관 같다” 황당 이유로 엮어
투기성 자금의 사실상 ‘폭탄 돌리기’ 우려
4월 시황 조회공시 요구 모두 테마주
금융당국도 변동성 커지자 예의주시

본격적으로 시작된 조기 대선과 함께 정치테마주가 들썩이고 있다. 기업의 가치와 무관하게 정치적인 고려에 따라 등락을 반복하는 정치테마주는 한탕을 노리는 투자자들에겐 달콤한 속삭임이다. 하지만 투기성 자금 수요에 의해 언제든 손실을 볼 수 있어 사실상 ‘폭탄 돌리기’나 다름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홍보관에서 한 시민이 전광판 앞을 지나는 모습. 연합뉴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오세훈 서울시장과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이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관련 정치테마주 주가가 일제히 급락했다. 오 시장 테마주로 분류되는 진양화학은 전장 대비 29.99% 내려 30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여기에 진양산업(-29.19%)과 진양폴리(-23.06%), 누리플랜(-8.06%)도 급락했다. 유 전 의원 테마주인 대신정보통신은 4.58% 떨어진 채 장을 마감했다.

 

이런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정치테마주가 인기를 끄는 이유는 수익률이다. 최근 대선에 출마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테마주로 꼽히는 상지건설은 지난해 영업 손실만 218억원에 달했다. 매출은 204억으로 전년 대비 88%나 감소했지만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심판과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2심 무죄 등으로 이 전 대표의 대선 가도에 청신호가 켜지면서 지난 1일 3020원이었던 주가는 이날 2만5700원을 기록했다. 주가가 8배나 치솟은 이유는 회사의 임무영 전 사외이사가 2022년 대통령선거 때 이 전 대표의 선거캠프에 합류했다는 이력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이처럼 정치테마주가 만들어지는 배경은 황당하다. 평화홀딩스는 김종석 회장이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같은 경주 김씨이고 계열사 공장 중 하나가 김 전 장관의 고향인 경북 영천에 위치했다는 이유에서 테마주로 분류됐다. 지난 1월 2510원이던 평화홀딩스 주가는 이날 1만2300원대에서 거래를 마쳤다. 교복을 만드는 형지엘리트는 이 전 대표가 성남시장을 맡던 당시 무상교복 정책을 실시했다는 이유로 테마주로 묶였다. 시공테크는 박기석 회장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2008년 함께 국민경제자문회 민간위원으로 활동했던 이력 때문에, 태양금속은 한우삼 회장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같은 청주 한씨라는 이유로 테마주로 묶였다. ‘옷깃만 스쳐도 정치테마주가 된다’는 우스갯소리가 들리는 이유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2022년 대선 때 정치테마주 83개 종목의 44%가 기업 경영진의 공통 지인이 있다는 이유로 테마주로 분류됐다. 사적인 인연이 18%, 학연 16%, 지연 5% 등이었다.

정치테마주들은 특정 대선후보 또는 정치인과 인연이 있는 상장사들이 후보 종목으로 올라온다. 기업의 가치와 무관하게 등락을 반복하기 때문에 예측이 불가능하다. 굵직한 정치 이벤트와 맞물려 급변동하는 주가에 올라타 단기 차익을 얻으려는 투자자들이 많은 실정이다. 하지만 오 시장과 유 전 의원 테마주에서 보듯이 정치테마주가 항상 수익률을 담보하는 것은 아니다. 정치테마주의 경우 원상 복귀하거나 오히려 이전보다 더 낮은 가격까지도 내려간다.

 

이처럼 변동성이 커지면서 금융당국도 정치테마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 거래소가 시황변동을 이유로 조회공시를 요구한 기업 13곳이 모두 대선 테마주로 나타났다. 이 전 대표 테마주로 분류되는 곳이 11곳, 한 전 대표 테마주가 1곳, 한 대행 관련이 1곳이었다. 조회공시는 거래소가 상장법인에 대한 풍문이 사실인지 확인해 줄 것을 요구해서 법인이 공시하는 것을 말한다.

 

금융투자업계에선 정치테마주의 투기과열에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정치테마주는 정치인이 당선되더라도 실질적으로 실적이 개선되는 경우는 드물다”며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공효진 '봄 여신'
  • 나연 '사랑스러운 꽃받침'
  • 있지 리아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