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찬진(사진) 금융감독원장이 28일 금융소비자 보호를 최우선에 두겠다며 은행권에 책임 있는 역할을 촉구했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취임 후 첫 은행장 간담회를 열고 “앞으로 금융 감독·검사의 모든 업무 추진에서 금융소비자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 은행권에서도 이 점을 깊이 인식하고 스스로 책임 있는 영업문화를 정착시켜 달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조용병 은행연합회장과 20개 국내 은행 은행장이 참석했다.
이 원장은 특히 지난해 대규모 손실로 논란이 됐던 홍콩 H지수 연계 ELS(주가연계증권) 상품 불완전판매 사태와 같은 대규모 소비자 권익 침해는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제부터라도 은행권이 앞장서서 업무 전반에 걸친 프로세스를 점검해 보는 한편, 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한 책무구조도 운영, 고난도 투자상품 판매 관행 개선 등을 통해 ‘사전예방적 소비자 보호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감원에도 사전예방적 소비자 보호 체계를 위한 TF(태스크포스)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 원장은 또 “은행은 리스크(위험)가 가장 낮은 담보와 보증상품 위주로 소위 ‘손쉬운 이자장사’에 치중하고 있다는 사회적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여유 자본이 생산적 금융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써 달라”고 강조했다.
은행권도 변화와 혁신을 통해 국가 경제의 도약을 뒷받침하겠다고 화답했다.
조 회장은 “국내외 경제 여건이 엄중한 상황에서 은행산업이 국가 경제 대전환에 기여해야 할 것”이라며 “금융소비자 보호를 대폭 강화하고 내부통제 체계를 고도화하는 한편, 신성장 산업에 대한 자금공급 확대를 위한 노력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자본 규제 완화 및 정책자금 활성화 등 금융당국 차원의 지원 확대를 요청하는 한편, 그동안 논의가 이어져 온 금융소비자보호법 위반에 따른 금전제재 중복 부과(과징금·과태료)와 관련한 은행권 우려도 함께 전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