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개월간 결혼 평균 비용 상승세
결혼식장과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패키지 등을 포함한 결혼 비용이 꾸준히 상승해 지난달 평균 2160만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식대도 6만원을 넘어서며 결혼을 앞둔 예비부부들의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달 18일부터 29일까지 전국 14개 지역의 결혼식장 353곳과 결혼준비대행업체 151개 등 504곳을 조사한 ‘8월 결혼서비스 가격 동향’을 30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지난달 결혼서비스 전체 평균 비용(결혼식장 및 스드메 패키지 포함)은 2160만원으로 6월 이후 3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6월(2074만원) 대비 4.1% 상승한 수치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도 뚜렷했다. 수도권 결혼서비스 가격 평균은 2665만원으로 비수도권(1511만원)보다 1154만원 비쌌다.
수도권에서는 강남이 3509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인천이 1860만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비수도권에서는 충청이 1759만원으로 최고가를, 경상이 1181만으로 최저가를 기록했다.
지난 6월과 비교하면 수도권은 4.3% 상승한 반면, 비수도권은 1.9% 하락했다. 소비자원은 강남 지역의 가격 인상이 수도권 전체 평균 비용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식대와 대관료 역시 상승세였다. 전국 결혼식장의 1인당 식대 중간가격은 6만원으로 지난 6월(5만8000원)보다 2000원(3.4%) 올랐다. 강남은 8만8000원으로 14개 조사 지역 가운데 최고가를 기록했다.
대관료도 지난 6월 300만원에서 8월 350만원으로 16.7% 상승했다. 식재료나 꽃 등 주요 자재의 구매 단가 상승과 인건비 인상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스드메 패키지의 중간가격은 지난 6월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었다. 스튜디오는 132만원으로 가격 변동이 없었으며, 드레스는 2.6% 오른 155만원, 메이크업은 5.5% 오른 77만원으로 집계됐다.
결혼준비대행업체 20개사의 계약서를 분석한 결과, 모든 업체에서 불공정한 약관 조항이 확인됐다. 19개사(95%)는 ‘사진 파일 구입비’, ‘드레스 피팅비’ 등 필수 옵션을 별도 항목으로 구성했다.
13개사(65%)는 옵션 가격을 구체적으로 표시하지 않고 ‘별도’로만 표기했으며, 14개사(70%)는 위약금 세부 기준을 안내하지 않았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공정거래위원회와 공유하고 결혼준비대행업체 조사대상 20개사에 대해서는 불합리한 약관 조항 개선을 요청하는 한편 표준계약서 사용도 적극 권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