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복구율 여전히 10%대… ‘정상화 4주’ 목표 지연될 가능성 [국가전산망 마비 사태]

입력 : 2025-10-02 17:30:00 수정 : 2025-10-02 19:28:09
김세희 기자 saehee0127@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국정자원 화재 1주일째

시스템 하루 평균 40개 복구 ‘지지부진’
‘백업’ 갖추지 않아 데이터 영구 소실도
윤호중 “복구 성과 국민 눈높이 못 미쳐
민간 전문가·연구기관 인력 현장 투입”
신속 복구 위해 예비비 활용 절차 착수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초유의 국가전산망 마비 사태가 발생한 지 일주일이 지났지만, 복구율은 여전히 10%대에 머물고 있다.

 

정부가 발표한 ‘행정시스템 정상화 4주’ 목표도 지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게다가 화재로 전산실에 있던 96개 시스템은 모두 소실돼, 대구 클라우드 존에서 새롭게 이전·복구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다. 정부는 2일 행정시스템 복구율을 높이기 위해 인력·예산 투입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경찰이 2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을 압수수색하고 있는 가운데, 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복구업체 관계자들이 컴퓨터를 수거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은 이날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필수적인 행정서비스부터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최우선 순위에 두고 복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국민 눈높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정부는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해 인력과 예산을 총동원하고,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까지 현장에 투입했다”고 밝혔다. 지난 1일 김민재 행안부 차관(중대본 1차장)과 하정우 대통령실 AI(인공지능)미래기획수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은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복구 방안을 논의한 뒤, ETRI 인력 4명을 즉시 현장에 파견했다.

 

정부는 데이터 백업 및 이관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전산실 내 시스템의 대구센터 이전을 위한 인력도 투입한다. 부족한 예산은 예비비를 투입할 방침이다. 김 차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브리핑에서 “신속한 복구를 위해 예비비 활용을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며 “추가 복구인력 투입과 신규장비 구매 관련 비용은 선집행·후지급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민관 합쳐 500명이 넘는 복구인력을 투입한 상태다.

 

대전 본원은 2층부터 5층까지 총 9개 전산실로 구성돼 있다. 화재가 난 5층에는 7, 7-1, 8 전산실이 있다. 이 중 7전산실에 200개, 화재가 발생한 7-1전산실에 96개, 8전산실에 34개 등 전체 시스템의 절반이 넘는 330개(51%)가 집중돼 있다.

화재가 발생한 5층 전산실 분진제거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정부는 장비 분해 속도를 고려해 전국 서버 전문 청소 업체를 최대한 투입하고, 분리·제거·테스트 과정을 동시다발로 진행해 분진제거를 5일까지 마무리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화재로 녹아내린 전원 장치 수리도 빠르게 수리하기로 했다. 보통 1개월 소요되는 전원연결을 10일 내로 단축해 11일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삼성SDS, LG CNS 등 민간 전문가에도 지원을 요청해 협조를 받고 있다. 행안부 본부 인력과 5급 승진자 교육인력 등 20여명도 복구 현장에 투입해 사고 수습을 하고 있다.

 

정부가 이같이 인력·예산 투입을 확대한 이유는 현재까지 복구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복구율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뎌지고 있다. 완전 진화 후 복구가 시작된 지난달 28일 39개(자정 기준) 시스템이 재가동에 들어갔고, 29일에는 복구된 누적 시스템 수가 81개(오후 10시 기준)로 늘었다. 하루 평균 40개가 복구된 셈이다. 그러나 사흘째 들어 95개 시스템이 복구돼, 14개 증가하는 데 그쳤다. 5∼6일째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1일에는 105개가 복구돼 전날보다 10개 늘었고, 이날 오전 10시 기준으로는 112개로 7개만 추가됐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이 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김 차관도 브리핑에서 “전반적으로 복구 속도가 더딘 이유 중 하나는 화재 영향이 작은 1∼6 전산실 시스템의 경우에도 화재가 발생한 5층 7∼8 전산실 시스템과 연계돼 운영된 것이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정자원 대전 본원의 무정전 전원 장치(UPS) 기반 인프라를 교체하고 5층 7∼8 전산실의 손실 서버 네트워크 등 장비를 재배치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복구 자체가 어려운 시스템도 나오고 있다. 화재에 전소된 7-1전산실에는 중앙부처 공무원들이 개인 업무자료를 저장하는 G드라이브가 있었다. G드라이브는 대용량, 저성능 스토리지로 데이터 백업 시스템을 갖추지 않아 소실된 데이터를 되살리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G드라이브 데이터 소실 부분에 대해 복구할 수 있는 길을 많이 찾고 있다”고 밝혔다.

 

복구된 시스템이 다시 장애에 빠지는 상황도 벌어지고 있다. 정부는 1일 최근 복구된 공직자통합메일시스템 접속이 불안정해 메일 접속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알렸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