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통일교 부지’ 판결, 국익과 공익성은 어디에 있나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14-07-10 21:17:09 수정 : 2014-07-10 23:56:1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대법원 3부가 어제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유지재단(통일교재단)이 서울 여의도 대형 복합단지 파크원 사업시행사인 Y22프로젝트금융투자(Y22)를 상대로 낸 지상권설정등기 말소등기 등 청구소송에서 원고 패소 취지의 원심을 확정했다. 계약의 안정성에 방점을 찍은 것으로 보이지만 수긍하기 어려운 점이 많다. 그 무엇보다 국익과 공익성은 어디에 있는지 묻게 된다.

통일교재단은 2005년에 99년의 지상권 계약을 맺은 Y22가 나중에 오피스 건물 매각을 추진해 원고의 재산권을 침해했을 뿐 아니라 계약 체결 과정에서 배임 혐의가 짙다는 점을 들어 2010년 소송을 제기했다. 절차상 문제도 컸다. 통일교재단은 사실상 공익법인이고 재단 정관에 ‘재단의 기본재산을 처분할 때는 공익재단에 준용한다’고 돼 있다. 따라서 Y22에 대한 개발권 부여는 정관의 변경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관할구청의 허가가 있어야 하는 사안인데도 불구하고 그 필수적 절차가 이행되지 않은 데 이의를 제기한 것이다. 그러나 1·2심은 “관청의 허가가 필요하지 않다”고 했고, 대법원은 어제 “원심의 결론은 정당하다”고 했다.

각급심은 법조문과 계약서 등을 세밀히 들여다보며 고민을 거듭했을 것이다. 어제 판결 또한 고민의 소산이란 점은 믿어 의심치 않는다. 하지만 결국 기계적 판결에 그쳐 국부를 유출하고 공익성을 훼손하는 판단을 내리게 된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1997년 외환위기는 대한민국의 알토란 같은 자산을 줄줄이 해외에 넘기는 참상을 빚었다. 통일교재단의 여의도 부지 문제도 당시 겪은 통일그룹 산하 기업들의 경영위기와 무관치 않다. 재단이 통일그룹 계열사들을 돕기 위해 당시 주채권자에게 여의도 부지를 담보로 제공한 것이 악몽의 시발점이었다. 그 공이 구르고 굴러 지상권 계약으로, 소송으로 이어졌다. 결국 어제 판결로 외환위기 희생자 명단이 추가된 셈이다. 재판부가 계약서 문안만이 아니라 계약 정황까지 폭넓게 살폈더라면 피할 수도 있었던 참담한 결과다.

공익성의 문제도 크다. 여의도 부지는 1970년대부터 통일교 신도들이 어렵게 돈을 모아 구입한 땅이다. 신도들의 피땀이 어려 있는 땅인 것이다. 부지 용도는 명확했다. 통일교의 세계선교본부 건물을 건립해 세계평화와 남북통일의 주춧돌을 놓을 예정이었던 것이다. 어제 판결로 그 청사진은 일단 물거품이 됐다. 이제 이 땅에선 공익적 가치가 아니라 금융자본의 탐욕이 넘실거리게 됐다. 과연 국가적으로 바람직한 일인가. 개탄스럽기 짝이 없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혜빈 '매력적인 미소'
  • 전혜빈 '매력적인 미소'
  • 혜리 '겨울 여신 등장'
  • 권은비 '매력적인 손인사'
  • 강한나 '사랑스러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