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이후 용산 미군기지의 이전 절차가 변경을 거듭하고 있고, 공원 부지 내 미국 대사관 숙소 등의 신축 계획 등이 추가됐다. 또한 연계 추진되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이 최종 백지화되면서 주변의 교통여건이 변화한 것도 공원 계획 변경의 주된 이유 중 하나다.
국토부는 현재 2011년 기본계획에 따라 설계가 추진 중이므로 공원의 기본골격은 그대로 유지하는 선에서 최적의 변경안을 모색했다. 기존 관문공원·놀이공원 등으로 구획됐던 공원의 특성이 단일공원에서 문화예술시설, 교육레저시설 등의 구역으로 대부분 소화되는 콘셉트다.
이에 따라 용산공원은 남산에서 공원으로, 다시 한강으로 연결되는 연결 녹지가 만들어지고 저류 기능 및 친수공간의 성격을 지닌 호수와 이를 연결하는 시내, 그리고 빗물 저장과 정화 기능을 하는 습지가 조성된다. 문화·예술·레저 프로그램 등을 위해서는 야외공연장과 소극장, 수목원, 삼림욕장, 물놀이 시설, 바비큐장, 수영장, 축구장, 스케이트장 등이 마련된다.
변경된 교통계획에서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계획에 들어 있던 지하철 신분당선 중앙박물관역 설치가 불투명해진 상황이라 역사 위치 등이 삭제됐다. 대신 국토부는 기존의 계획안에서 보행 및 자전거 위주의 동선 체계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대중교통 및 보행을 통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여러 개의 출입구를 만들고, 부지를 내부, 외곽으로 순환하는 동선과 남·북, 동·서 방향으로 도심과의 보행 연계성을 강화하는 방식이다.
공원 내 시설물은 생태적인 공원 분위기에 맞춰 건폐율을 일반 도시공원보다 낮게 유지한다. 또한 미군의 이전 뒤 남은 시설물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사해 보전, 재사용, 철거로 구분하는 세부적인 가이드라인도 만들어진다. 국토부는 이 과정에서 문화재청의 의견을 수렴해 건물 외장뿐만 아니라 내장, 구조적 가치까지 반영해 보존대상을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나기천 기자 n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