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3년 4월24일 방글라데시 라나 플라자 붕괴 사고 현장. 세계일보 자료사진 |
![]() |
BMW의 최신형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i8. BMW 제공 |

금세기 들어서면서 확산일로였던 윤리적 소비(ethical consumption)가 난관에 부딪혔다고 독일 시사주간지 슈피겔이 진단했다. 외형적으로는 성장했지만 각종 문제점이 속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윤리적 소비는 상품을 구매할 때 가격 대비 품질만이 아니라 환경문제나 개발도상국과의 공정무역,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까지 고려하는 소비행위를 일컫는다. 동물실험과 노동착취 등 평판이 나쁜 기업이 생산한 제품에 대해선 불매운동을 벌이고 구매 시 가격이 다소 비싸더라도 유기농·친환경·공정무역 상품인지를 우선적으로 따지는 ‘착한 소비’인 것이다.
친환경 제품 전문 정보 포털사이트 ‘유토피아’를 만든 독일인 클라우디아 랑게르는 요즘 들어 ‘의식 있는 소비자만이 지구를 지킨다’는 오랜 신념에 회의를 느낀다. 랑거는 “처음에는 윤리적 소비가 기업을 움직이고 재계가 정치권을 압박하면 세상이 바뀔 것이라고 믿었다”며 “하지만 지금까지 우리의 윤리적 소비로 크게 나아진 것은 없고 동참자들은 갈수록 줄고 있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제 불편하기 그지없던 전기차 대신 일반 차량을 타고 다니고, 예전엔 거들떠도 안 봤던 플라스틱 장난감과 인스턴트 과자를 가끔 산다.




윤리적 소비는 건강은 물론 환경, 사회까지 생각하는 자본주의 대안 활동으로 여겨지며 2000년대 급속도로 확산했다. 제3세계 국가 노동자들에게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공정무역의 성장이 대표적이다. 세계공정무역협회(FLO)에 따르면 커피와 바나나, 코코아 등 공정무역 매출액은 2009년 약 34억유로(약 4조2204억원)에서 2013년 55억유로로 1.6배 늘었다. 영국의 윤리적패션포럼 측은 친환경 면화·양모 시장이 내년 1021억유로 규모로 성장해 전 세계 섬유시장의 10%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 |
탄자니아 공정무역 커피 원두 수확 장면. 세계공정무역협회제공 |
그는 “윤리적 제품 인증에 관한 국제 기준이나 환경세 도입, 노동조건 개선 등은 정치권을 압박해야만 얻을 수 있는 것”이라며 “기업과 정부에 지속 가능한 자본주의를 만들자는 메시지를 끊임없이 던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송민섭 기자 stso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