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기업 사원인 36세 A씨는 서울 강남의 원룸에서 혼자 사는 싱글족이다. 집이 서울이지만 회사까지 거리가 너무 멀어 8년 전 독립했다. 유학과 군대 시절 터득한 노하우로 청소와 빨래 등 살림을 척척 해낸다. 퇴근 후에는 라디오를 듣거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을 관리하고, 주말에는 부모님이나 지인들을 만나 시간을 보낸다. 건강관리도 소홀히 하지 않는다. 수영과 골프로 체력을 유지하며 식사도 회사에서 제공하는 세 끼니를 잘 챙겨 먹는다. 가끔 외로울 때가 있지만 크게 불편하지는 않다. 그는 자신의 싱글라이프가 꽤 만족스럽다.
#2. 4년 전 남편과 사별한 84세 B씨. 2남3녀를 두고 있지만 서울 노원구의 작은 아파트에서 혼자 지낸다. 자녀들과 손자들이 종종 방문하지만 그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집에서 혼자 시간을 보낸다. 마을 노인정에도 잘 가지 않는다. 몇년 전부터 가벼운 치매 증세가 있어 ‘혹시 무슨 실수라도 저지르게 되지 않을까’ 하여 밖에 나가는 게 두렵다. 병원에 다니고 있지만 최근 들어 끼니를 챙겨 먹는 일도 가끔 잊어버린다. 영양상태가 부실한 데다 바깥 활동을 하지 않아 몸이 많이 쇠약해졌다. 하지만 자식들이 가끔 찾아줘 자신은 행복하다고 말한다.
#2. 4년 전 남편과 사별한 84세 B씨. 2남3녀를 두고 있지만 서울 노원구의 작은 아파트에서 혼자 지낸다. 자녀들과 손자들이 종종 방문하지만 그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집에서 혼자 시간을 보낸다. 마을 노인정에도 잘 가지 않는다. 몇년 전부터 가벼운 치매 증세가 있어 ‘혹시 무슨 실수라도 저지르게 되지 않을까’ 하여 밖에 나가는 게 두렵다. 병원에 다니고 있지만 최근 들어 끼니를 챙겨 먹는 일도 가끔 잊어버린다. 영양상태가 부실한 데다 바깥 활동을 하지 않아 몸이 많이 쇠약해졌다. 하지만 자식들이 가끔 찾아줘 자신은 행복하다고 말한다.
◆네 집 중 한 집, 다양한 사연의 ‘1인 가구’
A와 B의 공통점은 ‘1인 가구’라는 것이다. 1인 가구의 정의는 1인 단독으로 구성된 가구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0년 전체 가구의 15.6%였던 1인 가구는 지난해 26.5%까지 올랐다. 2035년에는 34.3%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평균 3.5%씩 증가하는 셈이다.
1인 가구는 동질성을 가진 집단이 아니어서 성별·연령대별 구성, 노동시장에서의 위상, 경제 상황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1인 가구는 2000년 226만가구에서 2015년 506만가구로 모든 연령대에서 늘어나는 추세다. 그중 60대 이상이 34%로 가장 비중이 크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가 맞물려 독거노인 가구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특히 고령자 비율이 높은 농촌에 1인 가구 비율이 높으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여성 1인 가구가 늘어난다.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지역에서도 1인 가구는 급증한다. 젊은이들이 학업과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몰리고, 미혼 남녀나 이혼·사별한 사람들이 1인 가구를 형성하는 경우도 늘어났기 때문이다.
◆나 혼자 ‘잘’ 산다
최근 몇년 사이 미디어는 1인 가구의 밝은 면을 조명하고 있다. 2013년 방송을 시작한 MBC 예능프로그램 ‘나 혼자 산다’는 혼자 사는 연예인들의 모습을 통해 1인 가구의 명암을 담았다. tvN 드라마 ‘식샤를 합시다’는 1인 가구 젊은이들의 먹고사는 문제를 재미있게 풀었다. ‘먹방’(음식 먹는 방송), ‘쿡방’(요리하는 방송) 열풍 역시 혼자 사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생긴 현상으로 풀이되기도 한다.
실제 많은 싱글족은 혼자 살면서도 나름의 1인 생활 노하우를 터득하고 이를 공유하며 생존해 나간다. 네이버 카페 ‘싱글즈 라이프’ ‘혼살모’(혼자서도 재미나게 살고 있는 사람들의 모임) 등이 대표적인 정보 공유의 장이다. 각각 2012년, 2013년 생성된 이 모임은 회원 수가 2만4000명, 4500명을 넘었다. 카페에는 시시콜콜한 생활 이야기에서 청소와 정리 노하우, 간단한 요리 레시피, 문화생활 소식, 고민상담 게시판 등 각종 ‘혼자살기’ 정보가 오간다. 싱글족들은 혼자서 잘 살기 위한 조건으로 청결, 건강, 부지런함, 알뜰함, 외로움 견디기, 잘 먹기 등을 꼽는다.
싱글족끼리 취미를 공유하는 오프라인 동호회와 모임도 활성화되고 있다. 철저한 자기관리와 다양한 정보 공유로 1인 가구는 고독과 빈곤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독립적이며 개성 있는 모습으로 거듭나고 있다.
하지만 1인 가구의 양극화가 심한 만큼 혼자살이가 힘든 사람들이 더 많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의 상대빈곤율은 47.5%로 전년보다 1.5%포인트 높아졌다. 1인 가구 중 절반 가까이는 빈곤층이라는 의미다.
독거노인이 대표적이다. 젊은 시절 모아둔 돈과 자식들이 주는 용돈으로 혼자 살면서 봉사활동과 취미생활을 즐기는 노인이 있는가 하면, 한겨울 난방비를 내지 못해 냉골이 된 방 안에서 거동마저 불편해 외부와 단절된 채 살아가는 노인도 있다. 홀로 쓸쓸히 죽음을 맞이한 뒤 몇 달이 지나 발견된 노인 이야기는 이제 익숙한 뉴스가 됐다. 1인 가구 중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2035년에는 50%를 넘을 것으로 전망돼 ‘고독사’ 문제는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젊은 1인 가구 역시 취업·주거·경제 불안에 떨며 의식주만 겨우 해결하는 빈곤층이 흔하다. 서울에 사는 대학원생 C(28)씨는 “취업이 어려워 대학원에 진학했는데 졸업이 다가오니 또다시 막막해졌다”며 “지방에 계신 부모님이 고시원 방값을 보내주시지만 과외 2개로 생활비를 벌며 취업 준비까지 하려니 몸도 마음도 지친다. 이 생활이 언제 끝날지 모른다는 게 가장 무섭다”고 토로했다.
고려대 사회학과 김윤태 교수는 “1인 가구는고소득층보다는 저소득층에 많아 사회로부터 지원받지 못하면 빈곤, 건강 악화, 우울증 등 위험이 크다”며 “정부 차원에서 주택과 복지 등 1인 가구를 위한 대책을 확대하고는 있지만 급증하는 1인 가구 추세에는 못 미쳐 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희원 기자 azahoi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