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20대 총선 후 처음으로 25일 호남을 찾은 김 대표는 이날 광주시의회 3층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하고 "내가 지난 1월 15일 더민주에 올 적에 수권정당이 될 수 있도록 채비를 갖춰주는 역할 하러 온다고 했기 때문에 그 이상도 이하도 없다"며 이렇게 밝혔다.
김 대표는 '경선 권유 발언과 관련해 문 전 대표를 더는 만나지 않겠다'고 말했다는 보도에 대해 "말을 만들어서 사후에 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맞지 않는다"며 "단둘이 보는 일을 않겠다는 것"이라고 확대해석한 것이라고 했다.

이어 '전당대회 연기론'에 대해 "대표에 미련을 갖는 사람도 아니고 진작에 대표에 뜻이 없다고 얘기했는데 그걸로 이러쿵저러쿵하면 당에 도움이 되지 않으리라 본다"며 '연기론은 내가 관여할 바가 아니다"고 했다.
이날 김 대표는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정당은 국민에 의해 퇴출당할 수밖에 없다"며 "더민주의 변화를 회피하고 현실에 안주하려는 것은 정권교체를 방해하는 이적행위"로 규정했다.
호남 지역 28석 가운데 3석을 얻는 데 그친 것에 대해 김 대표는 "총선에서 1당이 됐다고 우리 당의 비상상황이 해제됐다고 생각하는 건 안일한 생각"이라며 "호남 민심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비상상황을 유지해야 하고, 정권교체도 험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총선을 통해 새겨야 할 교훈은 당권이라는 계파욕심이 아닌 집권이라는 국민의 염원"이라며 "더민주가 정권교체를 할 수 있다는 능력을 발휘할 때 광주민심이 회복할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했다.
박태훈 기자 buckba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