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4일 오후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 초청 오찬을 마치고 참석한 할머니들을 향해 청와대 본관 앞에서 정중히 인사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
문 대통령은 이날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를 청와대로 초청해 함께한 오찬에서 “대통령으로서 지난 합의가 양국 간의 공식합의였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으나, 그 합의로 위안부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8일에도 전날 외교부 한·일 위안부 합의 검토 태스크포스가 박근혜정부 때 이뤄졌던 협상 과정 및 이면합의 등의 부적절한 내용을 공개하자 관계부처에 후속조치를 지시하며 “대통령으로서 이 합의로 위안부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 |
“쾌유를 빕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 중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를 문병해 손을 잡고 쾌유를 기원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
2015년 12월 28일 한·일 외교장관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된 한·일 위안부 합의는 그동안 피해 당사자 입장이 반영되지 않은 점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됐다. 이 때문에 문 대통령이 향후 정부 입장 수립에 반영할 의견 수렴을 위해 직접 청와대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여덟 분을 초청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할머니들께서 모진 고통을 당하셨는데 해방으로 나라를 찾았으면 할머니들의 아픔을 보듬어 드리고, 한도 풀어드렸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며 “오히려 할머니들의 의견도 듣지 않고, 할머니들의 뜻에 어긋나는 합의를 한 것에 대해 죄송하고, 대통령으로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 위안부 피해 당사자에게 공식으로 사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후 청와대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반갑게 맞이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할머니들과 오찬을 함께 했다. 이용수 할머니(왼쪽)와 안점순 할머니가 손잡고 있다. 청와대 제공 |
![]() |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후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 초청 오찬에 참석하는 곽예남 할머니를 청와대 본관 앞에서 반갑게 맞이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
![]() |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후 청와대 본관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 초청 오찬에 참석하는 박옥선 할머니와 포옹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
일본 외무성은 이날 한국 외교부에 위안부 관련 한·일 합의 변경 시 이를 수용할 수 없다며 항의했다고 NHK가 전했다. 일본대사관 차석공사는 “한·일 양국 정부에 있어 합의의 착실한 실시야말로 중요하며, 이미 실시되고 있는 합의를 변경하려 한다면 한·일 관계는 관리불능이 되며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박성준·김예진 기자, 도쿄=우상규 특파원 alex@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