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내정자가 3일 오전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영등포구 교육시설재난공제회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
유 후보자는 “당시 14만명에 달한 학교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안 발의였다”며 “학교 비정규직 문제가 해소되는 상황이라 다시 발의할 이유가 없어진 법으로, 걱정할 것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해당 법안은 비정규직 노동자를 교사로 만들겠다는 것이 아니라 ‘교육공무직’이라는 별도의 직제를 만들어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는 취지”라며 “오해의 소지가 있어 2016년도에 이미 철회됐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유 후보자 지명을 철회해달라는 청원이 여러 건 올라와 있다. 한 청원은 이날까지 나흘동안 5만명 넘게 동의했다.
교육현장을 잘 모른다는 지적에 대해 유 후보자는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교문위)에서 6년간 활동하고 간사도 맡았다”며 “교문위에서 교육현장 목소리를 듣고 소통하며 정책대안을 만들어 토론했다”고 반박했다. 이어 “(그런데도) 현장을 모른다고 하면 어떻게 해야 현장을 안다고 할 수 있느냐”고 반문했다. 어릴 적에 교사가 꿈이었다는 말도 덧붙였다.
![]() |
3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에서 진행된 제364회 국회(정기회) 개회식 및 제 1차 본회의 종료 후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내정자가 서영교 의원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뉴시스 |
자유한국당 등 야당은 유 후보자가 피감기관 건물에 지역구 사무실을 개설해 운영한 것 아니냐는 의혹과 장남(21)이 무릎 관절 손상으로 병역 면제 받은 게 석연치 않다는 점 등을 거론하며 철저한 검증을 다짐했다.
유 후보자는 “(국민이) 우려하시는 부분을 해소하고 (청문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준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강은 기자 ke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