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초미세먼지 농도가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2050년에는 초미세먼지에 따른 조기 사망자가 현재보다 3배로 늘어날 것이란 연구 결과를 내놨다.
포항공대(포스텍) 환경공학부 이형주(사진) 교수, 석사과정 김나래(사진) 씨 연구팀은 초미세먼지와 고령화 속도를 고려한 2050년 사망자 수를 예측했다고 4일 밝혔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4/06/04/20240604518097.jpg)
미세먼지보다 크기가 작은 지름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초미세먼지는 몸속 깊숙하게 침투해 여러 질병을 유발하고 있다.
특히 고령층이 초미세먼지에 더 취약하다고 알려져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한국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팀이 조사한 결과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약 20㎍(마이크로그램)/㎥로 환경부 연간 대기환경기준인 15㎍/㎥보다 높고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수준인 5㎍/㎥를 한참 웃돈다.
연구팀은 인구주택총조사와 장래인구추계 데이터를 통해 2020년에 16%인 고령층 인구가 2050년에는 40%로 증가할 것이란 결과를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사망자 수를 예측하는 시나리오를 설계했다.
초미세먼지 농도가 최근 3년 평균 수준인 20㎍/㎥를 유지할 경우 2050년 초미세먼지에 따른 조기 사망자가 약 11만명에 이를 것이란 예측치가 나왔다.
이는 2020년 조기 사망자 수인 3만4000명의 약 3배에 이르는 수치다.
환경부 연간 대기환경기준인 15㎍/㎥로 초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더라도 2050년 사망자는 약 8만4000명에 이른다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2050년 사망자 수를 2020년 수준과 같게 하려면 초미세먼지 농도를 6㎍/㎥까지 줄여야 한다는 연구 결과를 얻었다.
초미세먼지 농도를 현재 정책보다 훨씬 더 많이 줄여야만 사망자와 공중 보건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형주 교수는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건강 취약계층이 증가하면서 초미세먼지가 공중 보건에 큰 위협이 되고 있어 지금보다 훨씬 강화된 미세먼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최근 환경 분야 국제 학술지인 '환경 연구'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