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마스크만 쓰고있어도 코로나19 감염 여부 확인 가능해진다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1-07-01 09:45:32 수정 : 2021-07-01 09:47:10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하버드‧MIT 연구팀, 호흡서 코로나 감지 ‘웨어러블 바이오 센서’ 개발
90분 이내 마스크 속 바이러스 입자 파악…코로나19 감염 여부 판단
“마스크에 특정 RNA‧수분 결합시 색 변하는 단백질 입혀…정확도 높아”
신종 코로나바이러흐 감염증(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호흡을 통해 판단할 수 있는 센서가 부착된 마스크..네이처(nature) 캡쳐 화면.

 

앞으로 마스크만 쓰고 있어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감염됐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쓰는 마스크로 바이러스 감염 여부까지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해외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기 때문이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미국 보스턴 헤럴드와 하버드대 학보 하버드 가제트 등은 28일(현지시간) 하버드대와 매사추세츠공대(MIT) 대 연구팀이 사람의 호흡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감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바이오 센서를 개발했다고 보도했다. 

 

논문에 따르면 사람이 이 센서를 장착한 마스크를 쓰고 버튼을 누르면 90분 이내에 마스크 속 바이러스 입자를 파악해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판단해준다. 

 

이는 특정 유전물질(RNA)과 수분이 결합하면 색이 변하는 단백질을 마스크에 입혀, 사람의 입에서 나오는 코로나19 RNA와 접촉했을 때 저절로 색이 변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적은 농도의 유전자만으로도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임신 테스터기처럼 맨눈으로 색 변화를 볼 수 있어 일반인들도 쉽게 진단할 수 있다. 

 

연구팀은 정확도가 표준 진단 검사와 비슷하다고 밝혔다. 이 기술이 유해물질이나 병원균을 다루는 의료진의 유니폼에 적용될 경우 병원 내 코로나19 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실제 상용화될 경우 복잡한 코로나19 진단 절차와 시간을 간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 내용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의공학’(Nature Biotechnology)에 게재됐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신은수 ‘심쿵’
  • 신은수 ‘심쿵’
  •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
  • 김태희 ‘눈부신 미모’
  • 임윤아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