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반가사유상 휜 발가락은 ‘맨발걷기’ 탓”

입력 : 2022-05-15 22:00:00 수정 : 2022-05-15 21:15:5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황건 교수 “불상 모델이던 승려
맨발로 다녀 갈퀴발가락 가능성”
기존 학계는 “깨달음 희열 표현”
옛 국보 제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오른발 엄지발가락이 휘어진 모습. 황건 교수 제공

국립중앙박물관이 지난해 야심 차게 기획해 선보인 ‘사유의 방’에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재 국보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두 점이 놓여 있다. 두 불상 모두 오른발을 왼쪽 무릎 위에 올리고, 오른손으로 턱을 살포시 괴고 있다. 오묘한 미소를 지은 채 상념에 빠진 모습이 인상적이다. 그런데 유심히 보면 오른발 발가락에 미묘한 차이가 확인된다.

문화재 지정 번호 폐지 전까지 국보 제83호(1962-2)로 부른 불상은 엄지발가락이 아래쪽으로 심하게 휘었지만, 국보 제78호(1962-1) 불상은 엄지발가락이 비교적 곧게 뻗어 있다. 학계에서는 국보 제83호의 휜 엄지발가락을 두고 깨달음을 얻은 순간의 희열을 나타낸 징표라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일각에선 이 발가락을 근거로 제83호가 제78호보다 예술성이 뛰어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황건 인하대 의대 교수는 국보 제83호 반가사유상의 휜 엄지발가락과 관련해 불상의 모델이 된 승려가 맨발로 걸어 다닌 결과 실제로 발이 변형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15일 학계에 따르면, 황 교수는 지난 3월 출간된 대한의학회지(JKMS)에 기고한 ‘반가사유상의 발가락기형’ 글에서 “국보 제83호 반가사유상 엄지발가락은 ‘망치 엄지발가락’ 또는 ‘갈퀴발가락’으로, 이 같은 모습으로 앉아 있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는 반가사유상 엄지발가락을 논하면서 태국 북부에 거주하는 승려 208명을 대상으로 이뤄진 설문조사 결과를 소개했다. 2015년 논문에 수록된 조사에 따르면 태국 승려 중 70.8%는 발에 굳은살이 있었고, 18.2%는 발가락 기형을 겪었다. 13.4%는 족저근막염, 3.8%는 발허리통증, 2.9%는 무감각 증상이 있었다.

발가락 기형 중에는 엄지발가락이 새끼발가락 쪽으로 휘는 무지외반증과 갈퀴발가락 사례가 많았다.

황 교수는 태국 승려들의 발 건강이 좋지 않은 데 대해 “매일 오랫동안 신발을 신지 않고 걸어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이 강해진 결과”라며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흙길이나 콘크리트 길을 걷다 보면 무감각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에서도 국보 제83호 불상이 제작된 7세기 초반에는 불교 승려들이 오늘날 태국 승려처럼 맨발로 다녔을 확률이 높다”며 “당시 승려들은 발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반가사유상처럼 행복해하며 깨달음을 얻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민주 '순백의 여신'
  • 김민주 '순백의 여신'
  •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
  • 공효진 '공블리 미소'
  • 이하늬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