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고3 10% 늘어난 2026학년도 대입, 주요 변화는 [입시톡톡]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입시톡톡

입력 : 2025-02-18 16:29:50 수정 : 2025-02-18 16:29:49

인쇄 메일 url 공유 - +

2026학년도 대학 입시의 주요 변수 중 하나는 ‘고3 학생 수’가 꼽힌다. 올해 고3 학생 수는 작년에 이어 가파르게 증가해 입시업계에서는 대입 합격선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18일 진학사가 2026학년도 대입 주요 변화 사항을 정리했다. 

 

◆고3 10% 증가 예상…좁아진 대입 문

 

교육통계서비스의 연도별 입학자 수에 따르면 올해 고3 수험생은 작년보다 4만명 늘어난 46만8000명이다. 전년보다 10% 정도 증가한 수치다. 그러나 대학 선발 인원은 전체적으로 1%(약 4000명)만 늘어나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진학사는 ”수험생 수는 큰 폭으로 늘어나는 반면 대학 모집정원 증가는 미미해 대입 경쟁률이 전반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며 ”결과적으로 합격선 상승, 수험생들의 적정·안정 지원 강화 등 ‘보수적 지원 추세’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불확실한 의대 정원도 변수

 

의과대학 정원 변동 가능성도 주목해야 한다. 2025학년도 대입에서 많은 수험생이 ‘의대 정원이 늘어나 입시 결과가 하락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수시에 과감한 상향지원을 시도하면서, 전반적인 수시 지원 건수가 2024학년도보다 19만건이나 증가했다. 

 

그러나 올해는 정원이 축소될 가능성이 제기돼 수험생들의 지원 심리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의대 자체 의견과 정부 논의 등을 종합하면 당초 계획보다 감축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진학사는 “감소 폭이 클수록 상향지원 심리가 약해져 지난해처럼 수시 지원 건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긴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자연계열 사탐 허용 확대…’사탐런’ 가속화

 

또 다른 특징은 자연계열 모집단위가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사회탐구(사탐)를 인정하는 폭이 확대된다는 점이다. 기존 서울 주요 대학(공대·의대 등)에서는 수능 과학탐구(과탐)를 필수적으로 요구했지만, 작년부터 상당수 대학이 사탐도 허용하기 시작했다. 올해는 작년까지 과탐을 필수적으로 요구했던 고려대와 홍익대 자연계열에서도 사탐을 인정한다.

 

이로 인해 소위 ‘사탐런’이라 불리는 현상은 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사탐런은 이과계열 진학을 노리는 수험생들이 고득점을 위해 사탐 과목을 선택하는 현상을 말한다. 사탐은 과탐보다 공부 분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고득점을 얻기 수월하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지난해 응시 인원이 전년도보다 8만5000명 늘었다. 반면 과탐 응시자는 5만명 줄었다. 진학사는 올해도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예측했다.

 

◆무전공 올해도 많은 인원 선발…합격선 유동적

 

‘무전공 제도’도 변수로 꼽힌다. 무전공은 입학 후 1학년을 거쳐 자신의 전공을 선택할 수 있는 제도로, 2025학년도부터 무전공을 도입하는 대학이 대폭 증가하면서 이 전형에 대한 수험생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학생들은 개별 학과와 무전공 학과 중 어느 곳에 지원하는 것이 합격에 유리할지에 대해 깊이 고민하기에 학생들의 지원 심리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2025학년도 가톨릭대 수시 교과 전형 자료를 보면, 인문사회계열 무전공 등록자의 최저 성적은 17개 인문사회계열 학과 중 14위로 비교적 낮았으나 자연공학계열 무전공은 16개 자연공학계열 학과 중 4위로 높은 편이었다. 인문사회계열 무전공의 경쟁률과 17개 인문사회계열 학과의 평균 경쟁률 차이는 1.3정도에 머물렀지만. 자연공학계열 무전공 경쟁률과 16개 자연공학계열 학과의 평균 경쟁률 차이는 4.5로 더 높았다. 

 

이는 무전공이 ‘인문계 쏠림’이 강할 것이라는 일반적 예측과는 달리, 실제 지원 경쟁률에 따라 입결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진학사는 “올해도 무전공 학과에 대한 관심이 높겠지만, 구체적인 합격선은 수험생의 지원 심리에 따라 유동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정시 학생부 반영 대학 증가

 

2026학년도에는 학생부를 정시에 반영하는 움직임도 확산하고 있다. 기존에 서울대와 고려대, 부산대 의예, 치의예가 정시에 학생부를 적용해 왔는데, 올해부터는 성균관대 사범계열 학과, 연세대, 한양대 등도 이에 합류한다.

 

이러한 변화는 고교학점제(2025년 고1부터 적용)와 2028학년도 대입 제도가 맞물려 있다. 단순히 수능 성적만으로는 변별력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인다.

 

2028학년도 대입에서는 학생부가 5등급제로 바뀌고(1등급 상위 10% 이내 등), 수능 역시 공통시험화(선택과목 폐지)되어 범위가 축소된다. 서울대는 정시에서 학생부 교과 역량 평가를 강화하려는 의도를 내비치고 있으며, 향후 많은 대학이 정시에서도 수능과 학생부를 함께 고려하는 전형 방식을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소장은 “올해 고3 수험생은 수험생 수 증가, 의대 정원 여부 등으로 입시환경이 한층 복잡해졌다”며 “대학별 전형계획을 세심하게 살펴보고, 본인의 목표와 학업 계획에 맞춰 수시·정시 지원 전략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세종=김유나 기자 yo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오마이걸 효정 '사랑스러운 하트 소녀'
  • 오마이걸 효정 '사랑스러운 하트 소녀'
  • 신현지 ‘완벽한 비율’
  • 노정의 '눈부신 미모'
  • 신민아 '순백의 여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