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1일 발표한 ‘KTX 고속철도망 구축전략’은 2020년까지 전국 주요 거점을 KTX로 연결해 교통·물류 체계를 현행 도로 중심에서 철도 중심으로 바꾸겠다는 게 골자다. 또 이를 통해 전국을 하나의 도시권으로 만들어 수도권 집중을 막으면서 실질적인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겠다는 게 정부 목표다.
◆전 국토 84% 90분대 생활권으로
고속철도망 확충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전국 주요 거점을 ‘X자형’과 ‘ㅁ자형’으로 연결할 계획이다. 주요 거점은 KTX로 잇고, KTX가 운행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철도 노선 개량화 등을 통해 시속 230㎞ 수준의 고속열차를 운행한다.
우선 경부고속철도 2단계 사업인 대구∼부산(128.6㎞) 구간은 올 11월 개통하고, 대전·대구 도심 구간은 2014년까지 완공된다. 수도권 노선인 강남 수서∼평택 구간은 2014년까지 건설된다.
현재 2시간46분 걸리는 서울∼부산 운행시간은 대구∼부산 구간이 개통하면 2시간10분으로 단축된다. 또 대전·대구 도심 구간과 수서∼평택 구간 등이 2014년 가동되면 1시간43분까지 줄어들게 된다.
![]() |
◇이명박 대통령(오른쪽 세번째)이 1일 경기도 의왕시 철도기술연구원에서 열린 KTX 고속철도망 구축전략 보고회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남제현 기자 |
또 현재 계획 중인 동서축의 원주∼강릉(111㎞) 노선은 시속 250㎞급으로 고속화되고, 춘천∼속초(92㎞) 구간에선 민간투자와 연계해 철도건설이 추진된다. 내륙 축 중앙선의 원주∼신경주(212㎞) 노선도 건설되고, 대전·김천∼거제(200㎞ 내외) 구간에도 철도를 놓는 사업이 추진된다.
정부는 이 같은 KTX고속철도망이 구축되면 전체 인구의 84%, 전 국토의 82%가 1시간30분대의 생활권에 들고 인구의 98%, 국토의 95%는 2시간대 생활권으로 묶일 것으로 전망했다.
◆교통·물류체계 ‘도로→철도’ 전환
정부는 또 경기도가 추진하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사업을 제도·행정·재정 측면에서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GTX 건설 후엔 KTX와 선로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GTX가 개통하면 동탄∼삼성 구간의 운행시간은 67분에서 19분으로 줄어들고, 일산∼서울역은 42분에서 16분, 의정부∼청량리 구간은 31분에서 12분으로 대폭 단축된다.
도시·광역 철도의 경우 현재 공사 중인 사업은 계획대로 완공하며, 기존 선은 급행열차 위주로 운영방식이 개선된다. 또 현재 97.9㎞에 달하는 간선급행버스(BRT)망은 KTX와 연계되고, KTX역과 전철역, 터미널 역 등에는 상업·문화·업무 등이 결합된 복합환승센터가 속속 들어서게 된다.
김준모 기자
■KTX·도로 주요 도시간 이동시간 비교 | |||
구 간 | 도 로(톨게이트간) | 철 도 | |
현 재 | 장래 KTX망 구축시 최대단축 가능시간 | ||
서울―부산 | 4:20 | 2:46 | 1:43 |
서울―대구 | 3:00 | 1:37 | 1:10 |
서울―경주 | 3:40 | 4:38 | 1:22 |
서울―포항 | 3:50 | 5:18 | 1:40 |
대전―포항 | 2:25 | 3:23 | 1:02 |
서울―김천 | 2:30 | 1:47 | 0:56 |
서울―대전 | 1:40 | 0:49 | 0:38 |
서울―광주 | 3:00 | 2:52 | 1:11 |
대전―부산 | 2:50 | 1:52 | 1:05 |
대전―대구 | 1:50 | 0:48 | 0:32 |
대전―광주 | 1:50 | 1:55 | 1:03 |
대전―목포 | 2:50 | 2:15 | 1:13 |
대구―부산 | 1:10 | 1:09 | 0:33 |
대구―광주 | 2:30 | 2:53 | 1:35 |
대구―강릉 | 4:00 | 6:15 | 1:57 |
부산―광주 | 2:50 | 4:02 | 1:40 |
부산―강릉 | 5:00 | 7:35 | 2:16 |
광주―강릉 | 5:30 | 8:29 | 2:19 |
서울―목포 | 3:50 | 3:13 | 1:21 |
익산―목포 | 1:30 | 1:20 | 0:32 |
서울―여수 | 4:30 | 5:15 | 2:05 |
익산―여수 | 2:40 | 2:28 | 1:16 |
서울―광양 | 4:00 | 5:05 | 2:00 |
익산―광양 | 2:00 | 2:13 | 1:11 |
서울―진주 | 3:30 | 6:44 | 1:41 |
서울―강릉 | 2:20 | 6:07 | 0:58 |
자료:국토해양부 |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