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대통령은 초대 내각·청와대 인선에서 지역안배·여성인재 발탁 등에 소홀해 대선 당시 약속한 ‘대탕평’ 인사에 실패했다는 지적을 낳았다.
청와대 이정현 홍보수석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국민대통합위는 우리 사회에 내재한 상처와 갈등을 치유하고 공존과 상생의 문화 정착, 새로운 대한민국의 가치 도출을 위한 정책과 사업에 관해 대통령에 조언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며 “박 대통령은 지난 대선 기간 국민통합을 국정운영의 3대 지표로 제시한 바 있다. 국민대통합위 출범과 함께 박 대통령의 국민 대통합 행보가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 정부와 청와대 조각 과정에서 통합인사가 미흡했다는 비판을 감안해 국민대통합 실천에 대한 강한 의지를 재확인한 셈이다.
한 위원장은 4선 국회의원과 옛 민주당 상임고문을 역임했고 지난 18대 대선 과정에서 새누리당에 입당, 대선기구인 100% 대한민국 대통합위원회 수석부위원장과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 국민대통합위원장을 지냈다. 한 위원장과 함께 선임된 17명의 위원들은 국민 대통합이라는 위원회 활동 목적에 맞게 다양한 분야를 대변할 수 있고 국민통합을 위해 함께 노력할 인사들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청와대가 최근 공공기관장 인사에 대한 검증 강화 방안을 마련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청와대는 ‘낙하산·관치’ 논란에 휩싸이자 후보군을 대폭 확대하고 검증 작업을 철저히 하겠다는 방침을 이날 밝혔다.
김재홍 기자 ho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