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10명 중 1명만이 헌법에서 보장한 ‘범죄피해자 구조제도’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자신이나 가족이 중대한 범죄(살인·강도 등)를 경험한 국민 가운데 검찰·경찰이나 범죄피해자지원센터에서 피해 복구를 위한 지원을 받은 경우는 12.5%에 불과했다.

범죄피해자 지원을 전담하고 있는 전국 56개 범죄피해자지원센터에 대해 알고 있는 국민은 5.0%에 불과했으며, 범죄피해구조금이 있다는 사실을 ‘안다’는 응답도 9.6%에 그쳤다. 범죄 피해를 입었을 때 국민으로서 국가에 구조를 요구할 수 있는 정당한 권리와 방법에 대해 거의 모르고 있으며, 정책 당국의 홍보 노력도 부족하다는 얘기다.
범죄 피해 경험과 관련, 본인이나 친·인척이 ‘살인·강도·강간·방화 등 중대한 범죄를 입은 적이 있는가’라는 물음에는 40명(8.0%)이 ‘있다’고 밝혔다. 이들을 대상으로 ‘사건 조사 및 범인 검거 이외에 피해 복구를 위한 법·정신·경제적 지원을 사법당국이나 범죄피해자지원센터 등으로부터 받은 바 있느냐’는 질문에 35명(87.5%)이 ‘없다’고 답했다. 이 밖에 ‘도움을 받았다’가 3명, ‘도움을 받았지만 충분하지 않았다’가 2명이었다.
응답자들은 범죄피해자 지원에 보다 많은 예산과 인력을 투입해야 한다는 데 95.4%가 찬성해 대다수가 동의했다. 현재 최고 1000만원인 범죄피해자 구조금을 현실화해야 한다는 데 85.8%가 찬성했다. 또 벌과금 일부를 재원으로 해 범죄피해자기금을 만드는 방안에도 80.2%가 찬성했다. ‘만약 중대 범죄를 당한다면 범죄피해자지원센터에 도움을 요청하겠느냐’는 물음에는 90.2%가 ‘그러겠다’고 답했으며 ‘모르겠다’, ‘외부 도움 없이 혼자서 해결한다’는 응답은 각각 7.4%, 2.4%에 그쳤다.
(주)메트릭스 최은애 과장은 “국민 상당수는 범죄피해자 지원·보호제도에 대해 모르고 있지만 그 필요성에 대해선 적극 공감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특별기획취재팀=염호상(팀장)·박성준·조민중·양원보·송원영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