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중학교 1학년이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2018년부터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을 문·이과 구분 없이 배우게 된다. 중학교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 중심의 정보 교과가 필수과목으로 지정되고 초등학교에서는 안전한 생활 등 체험중심의 교과가 신설된다.
그동안 논란이 됐던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병기는 정부 방침대로 실시된다. 한국사는 2017년부터 국정화로 전환하고 이에 대한 정부의 공식 입장은 10월 중 발표된다. 하지만 교육현장 등에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전환 등을 둘러싸고 거세게 반발, 시행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교육부는 이 같은 교육과정이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등에 대해 정책연구 등을 거쳐 2017년 말에 수능 관련 개편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중학교에서는 내년부터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됨에 따라 교과활동 및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해 진로탐색, 주제선택, 예술·체육활동 등 특색 있는 활동들을 운영하게 된다.
![]() |
초·중·고등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정부의 ‘일본군 위안부 바로알기’ 보조교재가 22일부터 일선 교육현장과 온라인에 배포된다. 교재는 일본군 위안부 정의와 당시 시대상황, 강제동원, 피해 내용 등 일본군 위안부 문제 전반과 광복 이후의 삶, 일본의 책임,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등을 각급 학교 수준에 맞게 설명하는 내용이다. 사진은 이날 배포된 ‘일본군 위안부 바로 알기’ 교재. 연합뉴스 |
논란이 됐던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병기는 당초 방침대로 시행된다. 다만 적정 한자 수(300∼500자)와 한자, 표기방법 등은 내년 말까지 정책연구를 거쳐 결정한다.
김재춘 교육부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식 위주의 ‘암기식 교육’에서 배움을 즐기는 ‘행복 교육’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며 “이번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계획, 교원 연수 및 대입제도 개선방안 등을 조속히 추진해 새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잘 안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이정우 기자 woo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