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의화 국회의장이 17일 국회에 들어서며 쟁점법안 직권상정에 관한 취재진 질문을 받고 있다. 이재문 기자 |
![]() |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왼쪽)와 서청원 최고위원이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진지한 표정으로 얘기를 나누고 있다. 이재문 기자 |
원유철 원내대표도 “메가톤급 대외 악재들이 태풍처럼 밀려들고 있다”며 “그야말로 대외악재 비상사태”라고 경제위기론에 힘을 실었다.
직권상정을 거부한 정 의장에 대한 불만도 여전했다. 친박계 좌장 격인 서청원 최고위원은 “어제 정 의장의 ‘지금 대한민국은 경제위기가 아니다’라는 말에 동의할 수 없다”며 “이런 위기의 상황은 발상의 전환을 통해서 비상한 전환점을 갖는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여당 일각에선 청와대의 일방적인 소통방식에 대한 불만도 엿보인다. 당 관계자는 “청와대가 여야 지도부를 먼저 찾아가 쟁점법안 처리 협조를 구해도 쉽지 않은 상황인데, 정 의장을 찾아가 직권상정으로 처리하라고 하니 스텝이 꼬일 대로 꼬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어설픈 긴급명령 발언도 전략적인 실책이라는 지적이다. 정병국 의원은 한 라디오방송에서 “긴급명령을 발동해도 (쟁점법안은) 결국 다시 국회로 돌아와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 결국 정치권을 파국으로 끌고 가게 될 것”이라고 쓴소리를 했다.
![]() |
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원내대표(오른쪽)가 17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쟁점법안 직권상정을 압박하는 청와대와 여당을 비판하고 있다. 이재문 기자 |
쟁점법안 직권상정에 대한 국민 여론은 찬반이 팽팽했다. 리얼미터가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직권상정 반대가 46.0%로 찬성 41.9%를 오차범위(±4.4%) 내에서 앞섰다.
김달중 기자 da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