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마사회는 ‘소통경영’과 ‘고객중심경영’을 강화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C2C(CEO to Customer) 토크다.
한국마사회 현명관 회장이 2014년부터 경마 이용자·말산업 관계자와 만나 다양한 의견을 주고받는 자리다.
![]() |
최근 임직원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종이 없는’ 회의와 보고를 확대한 현명관 회장이 정부3.0 과제 추진상황을 살펴보고 있다. 한국마사회 제공 |
이들은 경마팬의 다양한 욕구 충족을 위한 거리별 경주 편성 다양화, 경마의 주요 콘텐츠인 기수·경주마 정보 확대 등을 요청했다.
한국마사회는 개진된 의견들을 경영에 적극 반영하고 이행 경과를 안내하기로 했다.
또 마사회는 전문가 심사와 고객 설문조사를 벌여 ‘스마트 레이싱 환경 구축 및 마이카드 앱 활성화’, ‘모계혈통과 말의 경주능력 정보 제공’, ‘경주로 정보공개 확대’를 우선 추진 과제에 포함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상담콜센터를 이용해 말 생산농가의 애로사항을 실시간으로 해결하고 있다. 그 결과 생산농가 만족도 자체 조사에서 ‘매우 만족’(10점 만점의 9.4점)’이 나오기도 했다.
세종=박찬준 기자 skyland@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