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북미 정상회담 앞두고 폼페이오가 강조한 'CVID'…뜻은 무엇?

입력 : 2018-06-12 12:27:23 수정 : 2018-06-12 12:27:23

인쇄 메일 url 공유 - +

역사적 첫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12일 오전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호텔에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단독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트럼프 대통령 소셜미디어 국장 댄 스카비노 주니어 트위터 캡처

미국이 6·12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겠다고 한 'CVID'은 무엇일까.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11일 "CVID는 우리가 수용할 수 있는 유일한 결과"라며 "북한이 CVID에 착수한다면 이전과는 다르고 전례 없는 안전보장을 제공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CVID(Complete, Verifiable, Irreversible Dismantlement)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핵폐기를 의미한다. 조지 부시 행정부 1기 때 수립된 북핵 해결의 원칙.

북한이 CVID를 수용했을 가능성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

이와 관련해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12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통해 "지금 김정은 위원장의 파격적인 행보를 보면 아마도 그동안에는 오랫동안 북한이 난색을 표명했던 CVID를 수용한 것 같다"고 했다.

이어 "CVID의 'I'라는 '되돌이킬 수 없다', '불가역'이란 표현 때문에 그동안 북한이 크게 반발했었다"면서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과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CVID를 계속 강조하는 걸 보면 거꾸로 어느 정도 북한의 양보를 얻어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선언문을 통해 CVID가 명문화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김정은 위원장이 이 부분을 통 크게 양보하고, 구체적인 로드맵이나 이런 것보다는 언제까지 하겠다고 하는 원칙적인 입장 표명이 가능하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긍정적인 의견을 내놨다.

"김정은 위원장이 CVID 명문화에다가 시한까지 약속을 해 준다면 미국은 뭘 내주는 겁니까?"라는 진행자의 질문에 그는 "사실 미국이 줄 수 있는 게 별로 많지 않다"고 조심스럽게 입을 열었다.

이어 "미국으로서는 종전 선언에 어느 정도 해 주고 그다음에 2차 정상회담의 대략적인 시기 그리고 북한에 대한 어떤 체제 안전 보장과 관련된 몇 가지들. 가령 북미 수교라든지 이런 부분에 대해서 조약을 통해서 확약하겠다. 이런 부분들을 명문화하는선에서 타협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뉴스팀 han62@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장희령 '해맑은 미소'
  • 장희령 '해맑은 미소'
  • 정소민 '완벽한 미모'
  • 이영애 '눈부신 미모'
  • 혜리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