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전체교정연구단 김진수(사진) 단장 연구팀이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대학(OHSU) 미탈리포프 교수 연구팀 등과 함께 인간배아에서 비후성 심근증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로 교정하는 데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박테리아 면역 체계에서 유래한 DNA절단 효소다. 특정 유전자를 없애거나 더할 수 있고 다른 염기서열로 교체하는 데 사용된다.
연구진은 인간배아 유전자 교정을 통해 비후성 심근증 변이 유전자가 자녀에게 유전되지 않을 확률을 자연상태인 50%에서 72.4%로 높였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온라인에 공개됐다.
정필재 기자 rus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