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아베 총리 사임, 한·일관계 개선 출발점으로 삼길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20-08-30 22:36:49 수정 : 2020-08-30 22:36:48

인쇄 메일 url 공유 - +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사임이 한·일 관계에 어떤 변화를 몰고 올지 주목된다. 아베 총리는 엊그제 기자회견을 열어 지병인 궤양성 대장염의 재발로 국정 운영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사임한다고 했다. 일본 최장수 총리 재임 기록을 세운 지 나흘 만이다. 후임 총리가 결정되는 9월 중순까지는 직을 유지할 계획이다.

한·일 관계는 수교 이래 최악의 상황에 빠져 있다. 2018년 10월 한국 대법원의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판결 이후 일본의 수출규제, 한국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종료 결정 등 ‘강대강’ 대치가 멈출 줄을 모른다. 아베 총리가 원인 제공자임은 두말할 나위 없다. 과거사를 왜곡하고 평화헌법 개정 등으로 일본을 전쟁 가능한 보통국가로 만들려는 집념을 드러내 주변국과 갈등을 빚은 건 최대 실책이다. 시대착오적인 총리의 리더십은 ‘염치를 모르는 국가’ 이미지만 일본에 덧씌웠을 뿐이다. 그의 퇴진은 한·일 관계 개선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아베 총리 후계자로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 기시다 후미오 자민당 정조회장, 이시바 시게루 전 자민당 간사장이 거론된다. 이시바 전 간사장이 상대적으로 한국에 우호적인 인물로 알려졌지만 누가 되든 급격한 정책 변화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그렇더라도 아베 총리식의 강경 우파 노선은 동력을 유지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뉴욕타임스(NYT)는 “전문가들은 일본의 차기 총리가 한국과의 껄끄러운 관계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전망한다”고 보도했다. 정부는 일본의 리더십 교체로 생길 수 있는 관계 개선 기회를 살리기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한다. 한·일 간에는 북핵과 중국 패권의 위협 등 공동으로 대처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분쟁 장기화는 양국을 패자로 만든다. 양국 공조 훼손으로 이득을 보는 건 중국과 북한임을 잊어선 안 된다.

정부는 꼬일 대로 꼬인 한·일 관계의 매듭을 풀기 위해 차기 일본 총리와의 대화를 적극 모색해야 한다. 청와대와 외교부는 “새로 선출될 일본 총리 및 새 내각과도 한·일 간 우호 협력관계 증진을 위해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했다. 대화와 협력의 기본은 배려와 양보다. 원칙만 고집할 게 아니라 유연한 대응이 중요하다. 양국 지도자들은 반일·혐한 정서를 부추겨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소재로 삼지 않았는지도 자문해 봐야 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홍화연 '깜찍한 손하트'
  • 홍화연 '깜찍한 손하트'
  • 김민주 '신비한 매력'
  • 진기주 '해맑은 미소'
  • 노정의 '시크한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