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복합 인재 육성… 500억으로 펀드 증액
정부가 미래먹거리 중 하나로 주목받는 푸드테크 연구·개발(R&D) 지원에 발 벗고 나섰다.
1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정부는 식품 R&D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푸드테크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을 시행하고 올해 연말까지 하위법령을 제정할 예정이다.

특히 △연구지원센터 구축 △인력양성 △창업활성화 △R&D 확대 등을 통해 푸드테크 산업을 지역특화 산업으로 육성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시설·장비 공동이용, 기술 애로 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연구지원센터는 총 5개소를 구축한다. 전북 익산 식물기반식품 연구지원센터, 경북 포항시 식품로봇 연구지원센터, 전남 나주시 푸드업사이클링 연구지원센터가 2024년 선정돼 2026년 완공될 예정이다. 2025년에는 경북 의성군과 강원 춘천시에서 각각 세포배양식품, 개인맞춤형식품 연구지원센터가 선정돼 2026년 완공될 계획이다.
2030년까지 푸드테크 10대 핵심 기술 분야로 지원센터를 확대할 예정이다. 주원철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은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는 지역별 푸드테크 기업과 대학·연구기관, 식품업체 등이 기술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혁신 기술 탄생의 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지역 식품산업 인프라와 연계해 지역별 특성화된 클러스터로 발전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식품과 정보기술(IT) 역량을 갖춘 융복합 인력 양성에도 나선다. 우선 대학 벤처연구팀 8개소(고려대 세종캠퍼스, 서울대, 한양대, 상명대, 건국대, 전남대, 농수산대, 연세대), 푸드테크 계약학과 9개소(고려대 세종캠퍼스, 한양대, 서울대, 경희대, 포항공대, 전주대, 전북대, 전남대, 부산대)를 지원한다.
이외에도 민간투자 촉진을 위한 푸드테크 펀드 조성액을 기존 300억원에서 올해 500억원으로 확대하고, 기업보고서 발간, 투자설명회 개최 등 지원에도 나선다. 아울러 향후 수요 다각화에 대응하기 위한 식품제조 공정 유연화 기술 고도화 R&D 투자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