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 기온이 최고 36℃까지 오르고 밤에도 기온이 25도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 열대야가 지속되면서 온열질환 발생 위험이 커지고 있다. 특히 고령자나 만성질환자 등 고위험군은 생명과 직결될 수 있어 더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1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5월 15일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아래 이달 8일까지 응급실에 방문한 누적 온열질환자는 총 1228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사망자도 8명 발생했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 40도를 넘고 서울에서 7월 상순 기온 최고치인 37.1도를 기록한 지난 8일에는 온열질환자가 238명 넘게 발생했다. 하루에만 온열질환자가 200명 넘게 집계된 것은 '최악의 폭염'으로 알려진 2018년 8월 이후 처음이다.
야외근로자 및 어르신 등 폭염 취약집단은 각별한 건강관리와 예방법 숙지가 필요하다. 특히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열사병은 중추신경계 이상(혼란, 경련, 의식저하 등)이 동반되는 질병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즉각적인 대처법도 알아둬야 한다.
폭염의 가장 좋은 예방법은 '외출을 삼가는 것'이다. 올해 온열질환자 발생 장소는 대부분 실외(81.1%)였다. 기본적으로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하루 중 기온이 가장 높아 최대한 외출을 하지 않아야 한다.
실내에서도 적정 온도를 유지하며 환기를 수시로 하는 것이 좋다. 부득이하게 외출할 경우에는 헐렁하고 밝은 옷을 입고 햇빛을 피할 수 있도록 챙이 넓은 모자나 양산을 이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열대야에는 실내 온도·습도를 관리하고 수면 전 샤워 등 숙면을 돕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규칙적으로 수분을 보충해주는 것도 중요하다. 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15~20분 간격으로 물을 마셔야 탈수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야외 활동 시간이 긴 야외근로자의 경우 수분과 함께 염분을 보충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 야외활동 시 주기적으로 그늘에서 휴식을 취해야 하며, 가능한 경우 쿨조끼나 냉타월 등을 착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전국 곳곳 주민센터, 경로당, 은행 등에서 운영되고 있는 '무더위 쉼터'를 활용해 더위를 피하는 것도 방법이다. 전국 각 지자체와 시중 은행 영업점은 무더위 쉼터를 개방해 거래 및 이용 여부와 무관하게 냉방시설을 시민들에게 개방하고 있다.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면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고, 방치 시에는 생명이 위태로울 수도 있다. 열사병과 열탈진이 대표적이다.
열사병은 고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거나 작업, 운동 등을 시행하면서 신체의 열 발산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고체온 상태가 되면서 발생하는 신체 이상을 말한다. 열탈진은 몸의 수분과 전해질이 과도하게 빠져나간 상태로, 심한 피로감과 두통, 어지러움, 구역질, 식은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온열질환자가 발생하면 즉시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기고, 물수건이나 물, 얼음 등으로 몸을 닦거나 부채 및 선풍기 등으로 체온을 내리며,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혼자가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여 병원으로 이송해야 하며,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음료수를 억지로 먹이지 않도록 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