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갈등에 반발해 약 1년 5개월 동안 학업을 거부했던 의대생들이 전원 학교로 돌아가기로 했다. 국회는 의대 교육의 정상화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회(의대협)의 이선우 비상대책위원장은 12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의협) 대강당에서 열린 ‘의과대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 입장문”을 발표하며 “의대협은 국회와 정부를 믿고 학생 전원이 학교에 돌아감으로써 의과대학 교육 및 의료체계 정상화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입장문 발표에는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이 함께했다.
다만 구체적인 복귀 날짜와 복귀 뒤 수업 방식은 불확실하다. 이 비대위원장은 “의대생이 복귀할 수 있다고 말한 것은 여러 단위에서 협조가 선행돼야 가능할 것”이라며 “정확한 날짜를 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했다.
의대협과 의협, 국회 측은 정부에 두 가지 사항을 건의했다. 첫 번째는 학사일정 정상화로 의대생들이 교육에 복귀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달라는 점이다. 두 번째는 의료 현장의 피해 복구와 중장기적인 교육 및 수련 환경 개선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당사자들의 참여를 보장해 달라는 요구다.
이들은 전공의 수련 재개도 더는 늦출 수 없다며 “국회, 의료계는 이해당사자들과 함께 실무 논의 단위를 신속히 구성해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의대생 학사 정상화를 시작으로 국민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의료 정상화의 길을 열어주시길 간절히 호소한다”고 덧붙였다.

의대생들의 전원 복귀 결정은 지난해 의정 갈등 촉발 뒤 처음 나온 것이다. 의대생들은 지난해 2월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정책에 반발해 집단휴학했고 대다수가 지금까지 수업을 거부하고 있다. 정부는 의대생들의 복귀 시한을 5월7일로 정했다. 기한 내 돌아오지 않는 학생은 유급과 제적 대상을 확정해 원칙대로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이대로면 예과, 본과를 합쳐 총 8300여명가량이 유급 처분을 받게 된다. 제적 대상 인원은 총 46명이다.
복귀 계기를 묻는 질의에 이 비대위원장은 “현시점에 전 정부에서 잃어버렸던 신뢰 관계가 (국회, 정부와) 장기간 대화를 하면서 회복됐다”며 “특히 두 위원장님이 노력한 만큼 교육 현장에 복귀할 수 있는 관계가 됐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