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유값이 휘발유값을 추월해 1ℓ당 2000원이 넘은 지 오래다. 소형 경유차량으로 생계를 꾸려가는 자영업자 가운데는 기름값이 뛰어 영업할수록 손해라며 자기 차에 불을 지르는 사람까지 나왔다. 화물업계와 버스운송업계는 운행을 거부하거나 축소하는 등 산업현장이 몸살을 앓고 있다. 경유값 폭등의 충격을 완화할 대책이 절실했지만 정부는 그간 안이하게 대처했다. 지난해 말부터 유류세 인하와 세금 환급의 필요성이 제기됐으나 정부는 난색을 표시한 채 처방을 미뤄온 게 사실이다. 하지만 정부의 무대책을 성토하는 목소리가 소고기 졸속협상 이후 촛불시위에 가세해 날로 확산되고 있음을 뒤늦게 깨달은 듯하다.
개인에게 최대 24만원의 유가 환급금은 큰 금액이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경제 전반으로 보면 정부의 단기 지원액 8조여원은 결코 적지 않다. 이 같은 세금 환급은 사상 처음으로 단행되는 특단 대책인 만큼 정부의 고충을 이해할 만하다. 유류세 인하는 세수가 줄어들 뿐 아니라 부유한 계층의 기름 소비를 부채질할 수 있어 문제의 소지가 있다. 10일부터 파업을 강행하겠다는 화물연대도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 가뜩이나 어려운 서민경제가 파업으로 더욱 꼬일 수 있기 때문이다.
소득 지원 등 큰 틀이 마련된 만큼 수혜 대상자를 꼼꼼히 선정해 뒷말이 없도록 해야 한다. 이에 못지않게 서민 일자리 제공 등 실질적 소득 보전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