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수석비서관에 이어 어제 내각이 일괄 사의를 표명함에 따라 출범 100여일 만에 새 정부 진용이 대폭 바뀌게 됐다. 이명박 대통령은 부시 미국 대통령에게서 ‘30개월 이상 소고기 수출 규제’ 약속을 받고 추가협상단을 파견하는 등 소고기 문제 해결에 전력투구하는 동시에 조만간 인적 쇄신을 통해 민심 잡기에 나설 예정이다.
촛불집회 주최 측과 참가자들은 6·10 행사가 끝난 이제 정부가 적극적으로 사후 수습과 인적 쇄신에 나선 것을 지켜보며 릴레이 항의 집회를 자제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어야 한다. 무엇보다 정부 간 재협상이 쉽지 않은 현실을 인식해야 한다. 재협상이 최선의 방안인 건 사실이다. 하지만 국제 통상 관례상 실현 가능성이 극히 낮은 데다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가 통상 규칙을 깰 경우 치러야 할 불이익도 따져볼 필요가 있다. 양국이 ‘실질적·효과적’ 방안에 합의한다면 차선책으로 받아들일 만하지 않겠는가.
집회 장기화로 여러 가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국민 건강에서 반정부 투쟁으로 집회 성격이 확대되면서 ‘말 없는 다수’의 반감도 점차 커지는 국면이다. 보수진영의 맞불 집회는 우리 사회에 또 다른 이념논쟁과 갈등을 확산시킬 가능성이 크다. 또한 도심의 교통 마비로 시민들의 불편과 불만도 커져만 가고 있다.
정부는 이번에야말로 확실한 인적 쇄신과 국정운영 개선을 통해 민심을 제대로 수용해야 한다. 촛불집회 주최 측과 참가자들은 그간 민심이 충분히 표출·전달된 만큼 이제부턴 정부의 후속 조치를 지켜봐야 마땅하다. 집회를 계속해 반정부 투쟁을 이어간다면 그 순수성을 의심받을 것이다. 경제난이 심각한 이때 생업 현장에서 땀을 쏟고 사회 통합에 힘쓰는 것이 나와 가족, 국가를 위한 길이 아닌가.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