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걱정스런 물류대란, 해결책 찾기 총력을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08-06-10 21:31:52 수정 : 2008-06-10 21:31:52

인쇄 메일 url 공유 - +

화물차주들의 모임인 화물연대가 13일부터 파업 돌입을 가결함에 따라 물류대란이 눈앞에 왔다. 화물연대는 정부와의 대화창구를 열어놓고 있기는 하다. 그렇지만 운송료 인상 및 표준요율제 도입 등 요구사항이 정부 측과 현격한 차이를 보여 타협점을 찾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고유가와 원자재값 폭등으로 휘청거리는 우리 경제에까지 겹치면 그 폐해는 엄청날 게 분명하다.

전북 등 몇몇 지역에서는 이미 운행을 거부하는 바람에 도로 곳곳에 화물차가 멈춰 섰다. 화물차가 13일부터 전국적으로 멈추면 물품을 수급해야 하는 완성차 업계나 철강, 석유 등 산업계 전체가 공장을 세우거나 영업을 중단해야 할 판이다.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물류 공급이 막히면 물가는 더 뛰고 가뜩이나 어려운 서민 살림은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국가경제에 미치는 피해가 얼마나 큰지도 과거 두 차례 겪은 바 있다. 현재 화물연대 조합원 수는 5년 전 물류대란 때보다 두 배나 많고, 비조합원들의 호응 또한 높은 상태여서 전보다 훨씬 큰 피해가 우려된다.

화물연대가 ‘파업’이라는 초강수를 둔 것은 경유가 1ℓ에 2000원을 넘는 고유가의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이다. 정부가 얼마 전 내놓은 지원 조치만으로는 적자를 면할 길이 없다는 주장이다. 현재 운송료로는 운행할수록 손해라는 그들의 딱한 처지를 이해한다. 덤프트럭과 레미콘 운전사로 구성된 건설노조도 파업에 돌입할 태세다. 버스업계도 요금 인상을 요구하며 감축운행을 경고했다. 그러나 관련 업계는 국민을 볼모 삼아 요구사항을 무조건 관철하려고만 할 게 아니라 현실적인 타협점을 찾고자 더 노력해야 한다.

화물연대가 즉각 파업에 들어가지 않은 만큼 정부도 대화에 나서 진전된 대책을 강구하길 바란다. 서민 경제가 도탄에 빠지고 산업동맥이 마비되기 전에 빨리 손을 써야 할 것이다. 화물연대도 파업의 파장을 깊이 고려해야 한다. 그러잖아도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 국민의 고통을 더 키워서야 되겠는가.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VVS 지우 '해맑은 미소'
  • VVS 지우 '해맑은 미소'
  •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공효진 '봄 여신'
  • 나연 '사랑스러운 꽃받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