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민간토론회 주요 참가자들. 손병호 회장, 신준우 회장, 박정진 논설위원(왼쪽부터) |
유엔사무국이란 세계 주요지역에 있는 유엔본부 출장소로, 제1 사무국은 뉴욕 유엔본부, 제2 사무국은 스위스 제네바(유럽 총괄), 제3 사무국은 오스트리아 빈(핵 관련 국제원자력기구와 협조), 제4 사무국은 케냐 나이로비(환경과 생태보존)에 있다. 제5 사무국 한국 유치 계획은 지난 2009년 9월 22일 제네바 사무국 주재 ‘유엔평화의 날 군축 세미나’에서 박중현 문선명 총재 특별보좌관이 종교지도자 자격으로 초청받아 제안함으로써 촉발됐다.
![]() |
남북통일운동국민연합 부설 평화통일연구소 주최 ‘제5 유엔사무국 한국 DMZ 유치 첫 민간토론회’ 모습. |
신준우 방송평화포럼회장도 “우리의 생각은 각각 다르지만, 통일을 염원하는 마음은 같을 것”이라며 “금번 토론을 통해 함께 배우는 심정으로 제5 사무국 한국유치에 대한 지혜와 해법을 찾아 나가자”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 발제에 나선 박정진 세계일보 논설위원은 “세계 인구의 60%를 차지하는 아시아에 유엔 사무국이 없다는 것은 아직도 유엔활동이 구미 중심임을 의미한다”고 지적하고, “제5 유엔사무국의 한국유치는 한국에 삼성 이상의 글로벌기업을 육성하는 일에 비견된다”고 진단했다.
![]() |
제5 유엔사무국 한국 DMZ 유치 예정지로 거론되는 경기도 파주 장단반도. |
이어 종합토론이 열렸는데, 제5 유엔사무국 유치에 대한 장애 요인도 만만치 않았다.
김윤섭 통일전문위원은 “DMZ에 평화공원이나 제5 유엔사무국을 유치하려면 결국 북한의 동의 없이는 불가능한데, 지금과 같은 남북 교착상태에서 그러한 제안들이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반문했고, 강명희 통일전문위원은 “현재로서는 북한의 동의를 어떻게 얻어낼 것인가를 놓고 냉철한 접근방법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일부 위원은 “남북한 냉전 상태를 타개하기 위해 먼저 한국의 ‘5.24조치’부터 단계적으로 완화할 필요가 있다”며 현실론을 제기했다.
답변에 나선 박 논설위원은 "제5 유엔사무국 유치 후보지 장단반도는 정확히 DMZ 밖 경기도 행정구역에 위치해 있어 별도의 북한 동의가 필요 없는 지역”이라며 “북한도 체제유지를 위해서는 결코 반대만 할 수 없는 만큼 남북이 정치적인 타협과 교류를 통해 점진적으로 풀어나갈 수 있다”고 역설했다.
한편 3월 2일 오후 3시30분 서울 여의도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DMZ 평화공원과 제5 유엔사무국 한반도 유치의 필요성’주제로 대규모 토론회가 예정돼 있어 이 운동이 정부 등 각계를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확산될 전망이다.
정성수 종교전문기자 tol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