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심해 바닥에 있는 광물 자원인 망간단괴(Manganese nodule)를 국가전략물자로 비축토록 하는 행정명령 초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망간단괴는 ‘다금속단괴’(polymetallic nodule)라고도 불리며 바닷물에 녹아 있던 금속 성분들이 수천m의 깊은 심해저에서 수백만년 이상 고압을 받아 둥근 덩어리 형태로 뭉쳐진 흑갈색 광물이다.

이 단괴에는 주성분인 망간 이외에도 철, 니켈, 구리, 코발트 등 경제적 가치가 높은 배터리 소재와 희토류 금속 등이 포함돼 있다. 또 망간단괴는 전세계 심해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며, 전 세계적으로 5000억t이 존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망간단괴 비축 행정명령을 추진하는 것은 심해저 광물 채굴권 확보와 정련시설 마련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라고 FT는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대통령 부보좌관 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국장을 지낸 아시아 문제 전문가 알렉산더 그레이는 해저 광물 채취가 미국과 중국의 경제적·군사적 경쟁에서 전선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FT에 밝혔다.
그레이는 “중국의 야심으로 가장 큰 위협을 받을 수 있는 분야에 미국 정부가 초점을 맞추는 것은 필수적”이라며 “트럼프 행정부가 조선업과 중요 광물 확보에 관심을 집중한 것과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중국은 서태평양 심해저에서 망간단괴 등 광물자원을 채굴하기 위한 탐사와 기술개발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제해저기구(ISA)를 통한 채굴권 확보에서도 다른 나라들보다 앞서 있다.
또한 중국은 지난주에 일부 희토류 원소에 대해 수출제한 조치를 내리는 등 광물자원을 다른 나라에 대한 경제적 압박 수단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국 정부 역시 이 같은 광물자원들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전쟁 지원의 대가로 우크라이나와 ‘광물협정’ 체결을 추진하는 것도 이 같은 배경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