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선고에 따라 정치권도 조기 대선 레이스에 시동을 걸었다.
5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은 7일 대선 출마를 선언한다. 김 전 의원은 국립서울현충원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 부부 묘소를 참배한 뒤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대선 출마 회견을 열 예정이다.

조기 대선이 확정된 후 민주당에서 대선 출마를 공식화한 것은 김 전 의원이 처음이다. 민주당에선 이재명 대표를 비롯해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경수 전 경남지사 등이 이르면 다음주 중 대선 출마를 선언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보수 진영에선 홍준표 대구시장이 이날 조기 대선 출마를 시사하면서 “다음주부터 절차를 차례로 밟아 국민 여러분 앞에 다시 서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윤석열 대통령 탄핵 사건은 당부(當否·옳고 그름)를 떠나 이제 과거가 됐다”며 “지금 우리에게 주어진 소명은 갈등과 분열이 없는 국민통합의 새로운 나라를 세우는 것”이라고 적었다. 또 홍 시장은 “우리에게는 탄핵 논란에 더 이상 휩쓸릴 시간이 없다. 이번 대선은 60일밖에 남지 않은 단기 대선”이라고 했다.
정확한 조기 대선 일정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나 6월 전후가 될 전망이다. 헌법은 대통령 궐위 후 60일 이내에 후임 대통령을 뽑기 위한 대선을 치르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공직선거법상 대통령 권한대행은 선거일 50일 전까지 대선일을 공고해야 한다.
이에 따라 대통령 권한대행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달 14일 이전에, 5월 24일∼6월 3일 중 하루를 대통령 선거일로 지정할 것으로 보인다. 8일 예정된 국무회의에서 선거일을 지정하는 안건이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
노종면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아무리 늦어도 국무회의가 열리는 오는 화요일(8일)에는 (선거일) 공표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 대선 사유가 확정된 전날 제21대 대선 예비 후보자 등록을 시작했다. 예비 후보자가 되려는 사람은 가족관계증명서 등 피선거권 증명서류, 전과기록·정규학력 관련 서류를 선관위에 제출하고, 후보자 기탁금(3억원)의 20%인 6000만원을 납부하면 된다.
만약 6월3일에 대선이 치러질 경우 정식 후보자 등록일은 선거일 24일 전인 5월10일부터 11일까지 이틀간이며, 후보자 등록 마감 이튿날인 12일부터 선거일 하루 전인 6월2일까지가 선거운동 기간으로 지정된다.
이번 조기 대선으로 뽑히는 대통령 당선인은 당선 확정과 동시에 대통령 임기를 시작한다. 별도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구성되지 않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