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동국문헌비고 편찬으로 조선은 문화국가 입증”

입력 : 2007-05-10 13:49:00 수정 : 2007-05-10 13:49:00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진단학회, 내일 학술대회 열어 1770년 8월5일 완성된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사진). 영조는 “300년 역사에 처음 있는 일”이라며 익선관과 곤룡포를 착용한 상태에서 월대의 계단을 내려와 직접 완성본을 받는 등 기쁨을 감추지 않았다고 한다.(승정원일기)
동국문헌비고의 증보판 격인 ‘증보문헌비고’에 가려져 있던 동국문헌비고를 본격 조명하는 학술대회가 열린다. 진단학회(회장 정만조)는 11일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동국문헌비고의 종합적 검토’(35회 한국고전연구 심포지엄)를 연다.
우리나라 최고(最高)의 종합적인 전장서(典章書)로 평가받는 동국문헌비고는 단군 이래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국가의 모든 제도를 집대성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총 13개의 고(考)로 구성돼 40책 100권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이 9개월이란 짧은 시간 내에 완성됐다. 조선의 강역을 정리한 ‘강역지’ 편찬 사업의 역량이 동국문헌비고로 옮겨간 덕택이다. ‘강역지’ 편찬 또한 당시 울릉도에서 인삼을 몰래 채취하는 상인들로 외교적 분쟁이 염려돼 울릉도의 일을 고증할 책을 만들자는 취지로 시작된 것이라니, 비고는 우연과 행운으로 탄생한 셈이다.
이름 또한 처음부터 ‘동국문헌비고’로 정해진 것이 아니었다. ‘해동문헌통고’ ‘해동문헌편고’ ‘해동문헌편람’을 놓고 논의를 거듭해 만든 것이다. 고증에만 1, 2년씩 걸리는 작업이지만 영조가 직접 관여해 작업을 서둘렀다. 이 시기는 사도세자의 죽음 등 정치적 격변을 겪은 직후로 영조는 자신의 통치기에 국가 전례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려는 정치적 의도를 갖고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동국문헌비고는 중국 원나라 때 나온 마단림(馬端臨)의 ‘문헌통고’(文獻通考)를 참고했지만 문헌통고 본문이 24고이며 ‘전부고’ ‘전폐고’ ‘호구고’가 앞에 배치된 것과 달리 비고는 13고로 분류가 훨씬 간략하며 ‘상위고’ ‘여지고’ ‘예고’를 앞에 둔다.
학술대회 발표자로는 김문식 단국대 교수를 비롯, 박광용 가톨릭대 교수와 옥영정(한국학중앙연구원)·정승모(지역문화연구소) 박사가 나선다. 김문식 교수는 미리 배포한 ‘동국문헌비고-예고의 자료적 특성’에서 “‘동국문헌비고’는 조선이 유교식 예제를 제대로 실천하는 문화국가임을 문헌적으로 입증했다”고 밝혔다.
정진수 기자 yamyam198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
  • 김지연 '청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