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왜 모두 달항아리에 푹 빠질까

입력 : 2009-01-19 16:42:22 수정 : 2009-01-19 16:42:2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내달 10일까지 '화가와 달항아리전'
◇김환기 ‘항아리와 매화가지’(1958년)
“아주 일그러지지도 않았으며 더구나 둥그런 원을 그린 것도 아닌 이 어리숙하면서도 순진한 아름다움에 정이 간다.” (최순우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조선 백자의 미는 이론을 초월한 백의(白衣)의 미. 이것은 그저 느껴야 하며 느껴서 모르면 아예 말을 마시오.” (삼불 김원용 ‘백자대호’)

달항아리로 불리는 풍만한 조선 백자는 한국적 미의 상징으로 많은 예술가와 문인들의 사랑을 받았다. 온화한 백색에 아무런 장식도 꾸밈도 없는 달항아리는 묘한 정감을 불러일으킨다. 게다가 달항아리는 한치의 오차도 없는 완벽한 조형미 대신 약간 일그러진 모습이 더욱 정감이 간다. 이는 달항아리를 만들 때 상·하 부분을 따로 만든 후 두 부분을 접합시켜 완성시키기 때문이다.

갤러리현대 강남은 새해 첫 전시로 다음달 10일까지 ‘화가와 달항아리전’을 연다. 달항아리에 심취해 이를 화폭과 사진에 담아온 작가들의 작품을 비롯해 도예가들이 직접 만든 달항아리 도자도 전시된다.

화가로는 도상봉과 김환기 화백의 작품이 걸린다. 도상봉이 화가로서 50평생을 바쳐 가장 즐겨 그렸던 소재는 꽃과 백자 등이었다. 그는 “백자가 보여주는 유백색의 변화감은 신비한 기쁨과 함께 한국적 정취와 멋을 풍긴다”고 말했다. 김환기 역시 달항아리를 예찬한 작가였다. 그는 “미에 대한 개안이 우리 항아리에서 비롯돼 조형과 미와 민족을 도자기에서 배웠으며, 나의 교과서는 도자기일지도 모른다”고 했다. 그는 여인, 또는 매화가지와 함께 달항아리의 풍요로움을 표현했다.

사진작가 구본창은 달항아리를 카메라에 담으며 그 아름다움을 예찬하고 동시에 그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백자는 마음을 비워 무욕의 아름다움을 성취한 놀라운 작품이다. 그 무욕의 마음을 사진으로 표현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사진의 사실적이고 기계적인 특성과 백자의 자연스러움은 어우러지기 힘들기 때문이었다. 백자의 외형적 형태보다는 그 내면에 흐르는 깊고 단아한 감성을 파고들고자 했다.”

강익중은 ‘이리 봐도 순박하고 저리 봐도 넉넉한’ 달항아리를 파란 하늘을 담아내듯 그려냈다.

도자로는 고 한익환의 작품을 비롯해 박부원, 박영숙, 권대섭, 신철, 강민수, 김은경, 양구, 강신봉의 작품이 전시된다. 또 실제 18세기에 만들어진 조선 백자 달항아리도 함께 전시된다. 둥그렇고 하얀 모습은 같지만 제각기 다른 달항아리의 멋을 감상할 수 있다. (02)519-0800

김지희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조여정, 순백 드레스 자태…과감한 어깨라인
  • 조여정, 순백 드레스 자태…과감한 어깨라인
  • 전혜빈 '매력적인 미소'
  • 혜리 '겨울 여신 등장'
  • 권은비 '매력적인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