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카이스트發’ 大入개혁 성공할까

입력 : 2009-03-13 09:48:05 수정 : 2009-03-13 09:48:05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포스텍 등 주요大 줄이어 동참 선언
“잠재력 있는 인재 발굴” 선발인원 대폭 늘려
정부도 “대입 완전자율화 선행제도” 예산 지원
구체 전형기준 없어… 공정성시비 극복이 관건
대학가에 입시개혁 바람이 거세다. ‘입시개혁의 기수’를 자처한 카이스트를 시작으로 각 대학이 혁신적인 입시안을 속속 내놓고 있다. 키워드는 ‘입학사정관제’ 확대다. 입학사정관제는 학생 선발 업무만 맡는 전문가를 통해 성장환경과 여건, 재능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잠재력 있는 학생을 뽑는 대입전형 방식이다.

하지만 입학사정관제가 유행처럼 도입되고 있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아직은 뿌리를 내리지 못한 생소한 입시제도다. 입학사정관의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런데도 각 대학이 이 제도를 앞다퉈 도입하는 것은 현 정부가 중점 추진하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올해 40여개 대학에 예산 236억을 지원할 방침인데, 조속한 대입 완전 자율화를 위해서는 이 제도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입학사정관 전형 확대를 주도한 곳은 명문 이공계 대학이다. 지난 5일 카이스트는 2010학년도 입시에서 전체 정원의 15∼20%(150명)를 입학사정관을 활용해 일반고 학생으로만 선발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어 포스텍이 올해 실시되는 2010학년도 대입 수시모집에서 신입생 300명 전원을 입학사정관 심사를 통해 선발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정원이 300명으로 입학사정관제를 적용하기에 부담이 없는 곳이다.

뒤이어 고려대와 성균관대, 한양대, 경희대, 서울시립대, 서강대 등이 가세하면서 유행처럼 번지는 양상이다. 연세대도 2010학년도 입시에서 총정원(3725명)의 16.3%인 609명을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선발한다고 12일 밝혔다. 대상은 올해 신설되는 ‘진리·자유 전형’(344명)과 ‘언더우드국제대학 전형’(95명), ‘사회기여자 전형’(20명), ‘사회적 배려 대상자 전형’(50명)과 정원외 입시사정관 전형인 ‘연세한마음전형’(100명)이다. 특히 미술 분야 최고 대학인 홍익대의 ‘실기고사 폐지’ 입시안은 파격적이다.

올해 각 대학은 지난해보다 적게는 3∼4배, 많게는 수십배 인원을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뽑고 2011학년도에는 이를 더욱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입학사정관 제도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지는 2년밖에 되지 않았다. 2007년 해외 선진형 입시제도를 도입한다는 차원에서 교과부는 지원 예산으로 20억원을 책정했다. 당시에는 지원액이 미미하고 제도에 대한 개념도 생소해 시범운영 수준에 머물렀으나 이명박정부가 출범하면서 급부상했다. ‘3불’(고교등급제, 본고사, 기여입학제 금지) 폐지 등 대입 완전 자율화를 추진하는 정부가 교육계 안팎에서 우려하는 성적 위주 학생 선발 심화, 고교 서열화 등 부작용을 막을 대안으로 이를 강조하고 나섰다.

이제 시행 초기인 이 제도가 고질적인 교육 병폐의 ‘만병통치약’이 될지 의문이다. 각 대학이 ‘학생 잠재력을 보고 뽑겠다’고만 밝혔을 뿐 구체적인 전형계획은 밝히지 못하고 있다.

카이스트의 경우 1단계 선발에서 학교 성적 대신 잠재력, 인성 등을 보겠다고 했지만 어떤 기준을 적용할지 설명하지 못했다. 포스텍도 신입생 300명 전원을 입학사정관 18명이 개인 판단과 면접을 통해 뽑겠다고 했지만 구체적인 판단기준을 확정하지 않았다. 홍익대도 실기를 대신해 심층면접을 통해 미적 감각과 창의력을 판단한다고만 밝혔을 뿐 면접방식 등은 아직 불투명하다.

일각에서는 정부 눈치보기에 급급한 각 대학이 부작용 등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면접이 당락을 좌우하는 평가인 만큼 자칫 공정성 시비에 휘말릴 수도 있다. 교과부 관계자는 “미국도 1920년대 이 제도를 도입할 당시 신뢰성, 공정성 시비가 많이 있었다”며 “우리도 도입 초기이므로 그런 우려가 있을 수 있지만 노하우가 쌓이다 보면 정착되리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경희 기자 sorimoa@segye.com

[관련기사]

"입시지옥 해소" 기대속 "시행초기 혼란" 우려

대입제도 변천사, 4년마다 손질…입시현장 혼선 초래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민주 '순백의 여신'
  • 김민주 '순백의 여신'
  •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
  • 공효진 '공블리 미소'
  • 이하늬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