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자금을 고스란히 날릴 위기에 처한 민간출자사들과 2007년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돼 6년간 보상을 기다렸던 서부 이촌동 주민들은 용산사업 시행사와 최대 주주인 코레일, 인허가권자인 서울시 등에 책임을 묻겠다는 입장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30개 출자사가 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 프로젝트금융회사(PFV)의 자본금으로 내놓은 금액은 1조원 상당이다.
삼성물산 등 17개 건설투자자들은 2천억원을 내놨다.
업체별로는 삼성물산이 640억원으로 가장 많고 GS건설과 현대산업개발, 금호산업이 200억원씩이다.
이어 포스코건설과 롯데건설, SK건설 등도 각각 120억원을, 한양은 100억원을 투자했다.
나머지 태영건설, 두산건설, 남광토건 반도건설, 유진기업, 계룡건설, 삼환기업, 삼성에버랜드, 우미건설 등은 20억∼40억원씩을 출자했다.
또 컨소시엄을 꾸려 용산 철도정비창 부지 토염오염정화공사에 나섰던 삼성물산, SK건설, GS건설, 롯데건설, 삼성ENG 등은 공사대금 2천905억원도 떼일 가능성이 높다.
삼성물산의 한 관계자는 "출자금에 전환사채(CB)까지 떠맡아 1천400여억원이 들어갔고 토지정화공사대금도 못 받았다"면서 "이제 합의는 어렵고 돈을 찾으려면 (소송밖에) 다른 방법이 없지 않겠느냐"고 밝혔다.
KB자산관리(1천억원), 푸르덴셜(770억원), 삼성생명(300억원), 우리은행(200억원), 삼성화재(95억원) 등 재무적투자자(FI)가 출자한 2천365억원도 손실이 불가피하다. 이 중에는 국민연금이 부동산 펀드를 통해 투자한 1천250억원도 포함됐다.
전략적 투자자(SI)로 참여한 롯데관광개발(1천510억원), 미래에셋맵스(490억원), 삼성SDS(300억원), KT&G(150억원), CJ(100억원), 호텔신라(95억원) 등도 2천645억원을 출자했다.
용산사업을 둘러싸고 끝까지 코레일과 대립각을 세웠던 롯데관광개발은 이날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인가를 받았지만 상장 폐지로 주식시장에서 퇴출될 전망이다.
서부이촌동 주민들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와 코레일에 손해배상을 촉구했다.
이들은 2010년에 보상·이주를 완료하겠다는 말을 믿고 생활비·학자금·이주시 거주 공간 마련 등을 위해 돈을 빌렸지만 개발이 지연돼 이를 갚을 수 없게 됐다면서 정신·물질적 고통에 따른 손해배송 청구 소송을 하겠다고 밝혔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