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시 시스템 먹통” 비판 … 금융당국 견제장치 마련 검토 코스닥 시가총액 1위의 바이오 기업 셀트리온이 경영권을 외국계 회사로 넘긴다. 서정진(사진) 셀트리온 회장이 ‘공매도’ 세력의 끊임없는 공격에 맞서 보유한 지분 전량을 다국적 제약회사에 넘기겠다는 초강수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이에 주식시장에서는 공매도 개선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들끓고 있다.
서 회장은 16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공매도 세력 때문에 불필요한 회사자금이 자사주 매입에 투입되고 있다”며 “회사 발전을 위해 빠르면 5월, 늦으면 6월 말 셀트리온 지분을 다국적 제약회사에 매각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지주회사인 셀트리온홀딩스의 지분 97.28%와 셀트리온헬스케어 50.31%, 셀트리온지에스씨 68.42%, 셀트리온에스티 7.27%를 보유하고 있다. 셀트리온홀딩스는 셀트리온의 지분 20.69%를 보유한 대주주이다.
셀트리온이 자체 개발한 항체 바이오시밀러(바이오 의약품의 특허기간이 끝난 뒤 이를 본떠 만든 비슷한 효능의 복제약) ‘램시마’와 관련해 유럽에서 진행 중인 허가절차를 마친 뒤 연내 공개 매각한다는 것이 서 회장의 구상이다. 서 회장은 지분 매각방침의 배경으로 회사와 소액주주를 끊임없이 괴롭힌 공매도 세력을 꼽았다.
공매도란 주식을 빌려 이를 팔아치운 뒤 되사서 갚는 거래기법이다. 주가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을 상대로 초단기 시세차익을 노리는 수법으로, 주식을 판 가격보다 싸게 사들여 이문을 남긴다. 주가 하락을 부추기는 데다 인위적으로 주가를 조작하는 ‘작전’에도 악용돼 논란을 빚었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지난 2년 동안 공매도 금지기간을 뺀 432거래일 가운데 412일(95.4%) 동안 공매도가 이어졌다. 서 회장은 “공매도를 끊기 위해 가진 것을 포기하겠다”며 “금융시스템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공매도 투기세력을 막기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증시 일각에서도 공매도 세력을 규제하는 방안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세다. 공매도 주문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시스템을 만들어 특정창구에서 공매도가 집중될 경우 이를 견제하는 장치를 마련하자는 것이 골자다. 당국도 규제방안을 검토 중이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제도적으로 개선할 점이 있는지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황계식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