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폐·축소 사실 없어…A경감 PC 일부 삭제 오해소지 있어 전보" '국가정보원 선거개입 의혹' 수사에 대한 경찰의 축소·은폐 의혹과 관련, 서울경찰청이 "자료를 삭제한 PC에는 국정원 수사기록 자체가 없었다"고 의혹을 부인하는 등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27일 "서울청은 국정원과 관련한 의혹에 대한 노트북 분석자료와 분석 결과 일체를 해당 수사를 했던 수서경찰서에 넘겼다"며 "검찰이 관련 자료를 확보하려고 한다면 수서경찰서를 통해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수사 관련 자료를 삭제했다는 의혹을 받는 서울청 사이버수사대 소속 A 경감은 자신의 PC에 내려받았던 안티 리커버리(anti-recovery·복구방지) 프로그램의 일종인 '무오(Moo0)'를 검찰의 서울청 압수수색 당일인 지난 20일 자신의 PC에 돌렸다"며 "무오는 파일이나 바탕화면 등 특정 자료를 지우는 게 아니라 휴지통에 버린 파일 등을 복원하지 못하게 깨끗이 지우는 프로그램"이라고 설명했다.
무오는 강력한 자력으로 하드디스크를 망가뜨리는 `디가우싱'(degaussing)과는 달리 덧씌우기를 통해 데이터를 삭제하는 프로그램으로 인터넷에서 무료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 경감이 무오를 가동한 시간은 오전 9시50분께로 당시는 검찰 수사관들이 압수수색을 위해 서울청 회의실에서 대기하던 시점이었다.
A 경감은 "짧은 시간" 무오를 돌렸으며 오해의 소지가 있을 것 같아 곧바로 가동을 중단했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A 경감은 "고의가 아니었다"고 항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A 경감의 PC에는 국정원 사건 수사 기록 자체가 없기 때문에 뭔가를 삭제했더라도 이 사건과는 무관하며 서울청이 댓글로 선거개입 의혹을 받는 국정원 직원에 대한 수사기록과 전자정보 일체는 이미 일선서에 전달, 보존돼 있기 때문에 A 경감의 PC 자료 삭제는 아무런 의미가 없어 수사 축소나 은폐는 오해라는 설명인 셈이다.
경찰 관계자는 "경찰이 조직적으로 자료를 삭제했다는 것도 말이 안 되며 검찰도 관련 자료 삭제나 은폐와는 무관함을 잘 알 것"이라고 주장했다.
A 경감은 서울청의 분석작업이 끝난 뒤인 올해 2월 초 서울청 사이버수사대에 배치돼 해당 PC를 인계받았고 그 PC를 자신의 것으로 생각해 자유롭게 사용하던 과정에서 벌어진 일이라고 경찰은 전했다.
하지만 서울경찰청은 A 경감의 행위 자체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 서울청 내의 다른 부서로 전보 조치했다.
서울청은 분석자료와 결과를 수서경찰서에 전달한 뒤 통상적인 절차에 따라 관련 자료를 지난 1월 하순에 폐기했다고 밝혔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