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버냉키 쇼크 이어 中 악재… 한국경제 ‘설상가상’

입력 : 2013-06-25 21:45:39 수정 : 2013-06-25 21:45:3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G2 리스크에 경제불안 고조
中 신용경색 우려까지 겹쳐 신흥국 자본유출 등 가능성
한은 ‘일시적 현상’ 진단 불구 금융시장 변동성은 더 커질 듯
미국 양적완화 축소 공포감을 일으킨 ‘버냉키 쇼크’에 이어 중국 신용경색 우려로 세계 금융시장이 휘청거리고 있다. G2(미국·중국)발 악재가 세계 경제를 뒤흔드는 양상이다. 펀더멘털(경제기초체력)이 좋다는 한국도 연일 맥없이 무너지면서 설상가상의 국면이 펼쳐지고 있다.

중국발 변수의 위험을 알리는 일부 경고는 가공할 수준이다. 조지 매그너스 UBS고문은 25일 파이낸셜타임스(FT) 칼럼에서 “중국 신용불안이 투자 급감, 성장 둔화, 금융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 “세계 자산·원자재 시장의 심리를 해치고 달러 강세를 이끌며, 신흥국 자본 유출과 성장 둔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했다. 매그너스는 중국 금융부문에 대해 “대차대조표를 숨겨두고 있고 폰지(다단계)식 거래가 잦다”며 “유동성이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월가의 큰손으로 꼽히는 마크 모비우스 프랭클린 이머징마켓그룹 회장은 24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주택시장의 신용 문제가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사태 당시와 비슷한 규모라고 진단했다. 그는 “중국이 미국과 같은 상황에 있다. 대출 상당 부분의 질이 악화하고 있고, 은행은 이른바 신탁회사에 이런 대출을 감춰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 경고의 공통점은 중국 금융의 불투명성과 신용경색 가능성이다. 그것도 일회성 경색이 아니라 중국경제 경착륙과 신흥국 자본유출을 촉발하며 세계 경제를 강타할 금융위기 수준의 신용경색이다.

이런 전망은 지나친 것이란 지적도 적잖다. 중국 위기론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며 최근 버냉키 쇼크에 맞물려 일시 자금경색이 나타났을 뿐이라는 시각이다. 작금 중국 금융시장의 신용 경색은 중소은행들 사이에서 나타났는데 그 결과 상하이은행 간 시장금리(SHIBOR)는 20일 연 11%까지 치솟아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5월 말까지만 해도 3% 중반대였던 금리가 자금경색 현상으로 네 배로 뛴 것이다. 이유는 복합적인 것으로 분석된다. 버냉키 쇼크가 닥친 데다 반기결산을 앞두고 은행들이 자기자본비율을 맞추려 돈을 풀지 않는 경향이 나타났고, 핫머니(단기투기자금) 유입 단속 강화로 자금유입이 줄면서 중소은행들의 자금줄이 막히는 현상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상하이 은행 간 시장금리는 다시 6%대로 떨어진 상황”이라며 “경색이 7월 초까지는 갈 수 있으나 장기화할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중국은 우리와 달리 자본 유출입을 통제하는 나라”라며 “정부가 금융시장을 충분히 통제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특히 “미국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처럼 정부도 어쩌지 못하는 상황이 중국에서 펼쳐질 가능성은 작다”고 말했다. 모비우스 회장도 “은행이 정부에 의해 통제되고 정부가 은행들이 파산하도록 두지는 않을 것이므로 중국에서의 전개는 (미국 금융위기와) 매우 다를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규모를 알 수 없는 지방정부 부채와 비은행권 고위험 여신인 ‘그림자 금융’, 금융권의 회계 불투명성 등은 엄연한 위기요인이다. 한은 관계자는 “당장 돌출할 위험이라기보다 묵직한 잠재적 리스크로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정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발 유동성 우려는 미국발 유동성 축소 우려와 함께 투자자들에게 또 다른 충격이므로 시장 변동성은 더욱 커질 개연성이 크다”고 말했다.

류순열 선임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박신혜 '미소 천사'
  • 박신혜 '미소 천사'
  • 이세영 '청순미 발산'
  • 뉴진스 다니엘 '반가운 손 인사'
  • 박규영 '아름다운 미소'